포항노조 "죽음에도 빈부격차가 있다"
포항노조 "죽음에도 빈부격차가 있다"
  • 박수진
  • 승인 2006.08.31 11:4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폭행자 응징할때까지 장례식 치루지 않겠다.
"책임자 처벌할 때까지 하중근씨 장례식 치르지 않겠다" 지난 1일 사망한 포항노조 조합원 하중근씨 사건과 관련, 한 달이 다 되도록 관련자 처벌은 커녕 진상조사조차 늦춰지는 것에 노동계가 분노하고 있다. 포항지역건설노동조합은 30일 저녁 서울 중구 동아일보 사옥 앞에서 조합원 40 여명과 민주노총· 민주노동당· 시민단체 관계자 등 모두 10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故 하중근씨 추모 문화제를 열었다. 이날 행사는 조합원들의 정부 및 경찰 규탄 발언과 촛불 시위, 노래· 문선 등 문화공연의 순서로 진행됐다. 포항노조는 "폭력진압, 살인진압을 한 경찰 및 경찰청장을 구속하고 하중근을 살려내라"며 "죽인 사람은 있는데 왜 책임지는 사람은 없냐"며 정부와 경찰을 규탄했다. 포항노조는 "백주대낮에 폭력을 휘둘러 노동자를 때려 죽이는 건 미친 세상에서나 가능한 일이다"며 "경찰은 우리 노동자가 무서워서 사실을 은폐하고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폭행자는 반드시 응징되어야 한다"고 거듭 주장했다. 이들은 또 "언론은 이번 사건을 왜곡· 축소 보도한 채 '바다이야기'에만 미쳐 있다"며 "노동자들만의 방송국을 갖고 싶을 정도로 억울하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민주노동당 서울시당 정종권 위원장은 "하중근씨 사건을 계기로 사람의 죽음에도 빈부격차가 있다는 걸 뼈저리게 느꼈다"며 "죽어서도 철저히 가진 자, 못 가진 자가 나뉘는 게 현실이다"고 개탄했다. 이날 행사를 지켜보던 시민 조강보(30)씨는 "70년대도 아니고 아직도 경찰에게 맞아 죽는 사람이 있다는 게 놀랍고 안타깝다"며 "경찰도 힘들게 일하는 건 알지만 방패를 휘둘러서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다"고 말했다. 한편 국가인권위원회가 하중근씨 사망 진정서를 접수한 지 한 달 만에 현장조사에 나서는 등 늦장 대응하는 것과 관련 포항노조는 "인권위에서 사고 당시 투입 경찰 목록과 무전녹취 등의 정보공개를 요청했지만 경찰이 거절해서 현장 조사가 늦어진 것으로 안다"며 조속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또 가해자 색출 및 진상규명, 대통령의 대 국민사과, 경찰청장 퇴진이 이뤄질 때까지 하중근씨의 장례식을 치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포항건설노조 조합원 하중근씨는 지난 7월16일 노조 시위 도중에 머리에 중상을 입고 뇌사상태에 빠져 있다 지난 1일 사망했고, 포항노조는 지난 24일 자체 진상조사단의 조사결과를 언론에 공개해 '경찰 폭력에 의한 사망설'을 강하게 주장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