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독버섯으로 인한 중독사고를 방지하고자 독버섯 주의보를 발령했다. 7월은 비 소식이 잦고, 땅이 습해져 자기 몸의 90%가 물인 버섯이 발생하기 좋은 환경이 만들어진다.
짧은 기간에 성숙하는 버섯은 장마철에 숲속의 땅과 나무에서 특히 많이 발생하는데, 이때 독버섯과 식용버섯이 함께 발생하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에는 1900여 종의 버섯들이 알려져 있는데, 이중 243종(13%)이 독버섯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난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10년간 독버섯 중독사고로 213명의 환자가 발생, 그 중 15명이 사망했다. 특히 2010년 이후부터 사망자가 계속 늘고 있어 어느 때보다 독버섯 중독사고에 대한 예방이 필요하다.
독버섯을 먹게 되면 현기증을 비롯해 구토, 두통, 복통,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 있는 만큼, 곧바로 병원으로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때 구급차가 오기 전까지 먹었던 것을 모두 토해내고 먹다 남은 버섯을 가져가 의사에게 보여주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