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건설노조 파업 해결전망 없나
포항건설노조 파업 해결전망 없나
  • 김윤재
  • 승인 2006.08.31 19: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업 두달, 노-사 지리한 대치
포항건설노조 파업이 석달째로 접어들고 있다. 임.단협안에 대한 노사 양측의 입장차가 워낙 큰데다 건설노동자 하중근씨 사망과 임산부 유산 등 외적인 변수로 어느 정도 장기전이 예상은 됐지만 지루한 대치 속에 누구 하나 적극적인 해결노력 없이 방관하는 분위기가 흐르면서 시민들의 불만이 고조되고 있다. "시장과 노동부 등 관계 기관이 중재노력도 없이 소극적인 자세로 일관하고 노사 양측도 서로에게 책임을 떠넘긴 채 공방만 계속하면서 포항을 파업도시로 만들고 있다"며 "답답한 것은 시민들 뿐"이라는 불만의 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지난 12일 극적으로 합의를 본 노사 잠정합의안이 노조 집행부의 거부로 무산된 뒤 지금까지 단 한차례의 협상도 갖지 못하고 있다. 노조측은 이와 관련 "노사합의안이 아니라 사측의 최종안"이라며 합의 자체를 부인하고 있는데다 민주노총과 연대해 하씨 사망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포스코 손배소 철회 등과 연계한 투쟁을 벌이고 있어 해결전망이 불투명하다. 노조는 합의안 거부 이후 교섭위원 9명 중 8명을 교체하고 사용자측에 협상재개를 요청해 둔 상태지만 사측은 노조가 12일 합의안을 전체 노조원 찬반투표에 부쳐 부결될 경우 재협상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와함께 사용자인 전문건설협회측은 파업 이후 공사 중단에 따른 자금난으로 더 이상 버틸 재간이 없다며 원청업체인 포스코건설과 계약해지를 강행할 움직임마저 보이고 있어 사태해결은 더욱 어려워질 전망이다. 이로 인해 건설업체가 계약해지를 할 경우 건설노조원 외에 업체에 근무중인 정규.계약직 1천여명의 정리해고가 불가피해 포항이 파업장기화에 따른 경기침체에다 대규모 실직대란마저 우려되고 있다. 더욱이 포스코가 지난 25일 건설노조와 노조간부 62명을 상대로 16억3천여만원의 손배소를 제기한 것도 노조를 자극하고있다. 포스코가 비록 단순 가담자는 제외하고 제철소 출입제한 조치를 하지 않겠다며 일반 노조원들에게 화해의 제스처를 보냈지만 노조측은 "직접적인 원인을 제공한 책임에 대해서는 한마디 언급도 없는 노조탄압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로 인해 노사 잠정합의안이 무산된 이후 20여일이 다 되도록 양측이 협상조차 갖지 못한 채 해결의 실마리도 찾지 못하면서 공사중단으로 상당한 간접피해를 입고 있는 포스코와 두 달째 월급도 못 받고 있는 일용직 건설노조원들만 속병을 하고있다. 포스코는 34개 건설현장이 두 달간 중단되면서 2천억원 이상의 막대한 간접피해를 감수하고 있으며 특히 올 연말 완공 예정이던 세계 최초로 개발한 신공법인 파이넥스 공장 준공이 늦어지면서 치명적인 타격을 입고있다. 포항제철소 34개 건설공사 현장에서 일하던 노조원들도 1인당 평균 월 200만원 가량의 임금을 받았으나 파업 이후 두 달간 한푼도 벌지 못하고 있다. 일용직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당장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지만 앞으로도 파업해결 전망이 불투명해 한 달여 앞으로 다가온 추석이 걱정이다. 일용직근로자 김모(45)씨는 ""한 달 벌어 생계를 꾸려가고 있는데 두 달간 일을 못해 생활비가 바닥났다"며 "이대로 간다면 곧 다가오는 추석에 차례상 차릴 돈도 없다"며 고개를 떨구었다. 시민 최모(34.상업)씨는 "노조 파업으로 포항의 이미지가 추락하고 경제는 거덜날 지경"이라며 "시민을 볼모로 한 어떠한 시위도 정당화될 수 없다는 인식을 갖고 노사 양측이 하루빨리 파업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