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일 정부는 국제해저기구 제22차 총회의 최종승인을 통해 서태평양 공해상 마젤란 해저산 지역의 여의도 면적(8.4㎢) 약 350배, 3,000㎢ 규모의 망간각 독점탐사광구를 확보했다고 밝혔다.
여기서 망간각은 해수에 함유된 금속이 해저산 사면(수심 800~2,500m)에 흡착돼 형성되는 광물자원으로 코발트, 니켈, 구리, 망간 등이 함유돼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이번 망간각 독점탐사광구 확보를 통해 태평양 공해상 망간단괴 독점광구, 인도양 공해상 해저열수광상 독점광구, 통가 EEZ 해저열수광상 독점광구, 피지 EEZ 해저열수광상 독점광구에 이어 5번째 독점광구를 확보, 총 11.5만㎢ 해양 경제 활동 영역을 확보하게 됐다.
더욱이 중국, 러시아에 이어 국제사회에서 3번째로 공해상 심해저에서 3개 광종(망간단괴, 해저열수광상, 망간각)에 대한 독점탐사광구를 모두 확보한 나라가 됐다는 점도 의미가 크다.
서태평양 독점탐사광구에 매장돼 있는 망간각은 코발트와 희토류의 함량이 높고 망간단괴보다 얕은 수심(800 ~ 2,500m)에 분포되어 채광비용이 저렴해서 세계각국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광물 자원으로 평가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정부는 이번에 확보와 지역에 약 4천만톤 이상의 망간각이 매장돼 있을 것으로 보고, 연간 100만 톤 상업 생산 시, 20년간 총 6조원의 주요광물자원 수입대체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