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의 사람도 아닌 김상곤일 뿐…모두를 아우르고 이끌 것”

김 전 위원장은 이날 오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그때 그때 관계되는 사람들과 역할분담이 있었을 뿐 친노, 친김 이렇게 이야기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오히려 그는 당내 최대계파인 문재인계의 지지를 의식한 행보를 보여 온 추미애, 송영길 의원 등 당권 경쟁후보를 겨냥 “여의도 문법에 머무르고 있는 인물들이고 구 정치에 젖어있는 면이 많은 사람들”이라며 “두 사람이 친문인지 아닌지는 모르겠지만 저는 누구의 사람도 아닌 김상곤일 뿐”이라고 기존 후보들과 차별화됐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김 전 위원장은 “제가 옛 새정치민주연합에 들어온 데에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의 역할이 있었고, 혁신위원장이 된 데에는 이종걸 전 원내대표의 역할이 있었다. 인재영입위원장을 할 때는 김종인 대표가 역할을 했다”며 “모두 동시대를 살아가는 정치인들로서 서로 협력과 비판을 하는 것”이라고 자신을 ‘친노·친문’으로 보는 데 대해 재차 거리를 뒀다.
당선을 위해선 친문계의 지지가 필요한데도 그가 이처럼 거리를 두려는 데에는 이미 문 전 대표 시절 혁신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문 전 대표의 눈도장을 확실히 찍어뒀기에 굳이 ‘친문’ 의사를 또 다시 내비칠 경우 과거 일어났던 계파 갈등만 다시 촉발시키고 당내 비주류가 등을 돌릴 수 있어 만일 당선된다고 해도 당을 화합해 이끌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인지 이날 김 전 위원장은 “모두를 아우르고 또 이끌어 나가겠다”며 가급적 무계파적 인상을 주려는 모습을 보였다.
또 그는 최근 정계복귀 의사를 내비친 바 있는 손학규 전 고문을 언급했는데, “제가 대표가 된다면 그 복귀를 촉구하고 복귀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여건들을 논의할 수 있다”며 “잠재적 잠룡들이 다들 나와 전체 판에서 치열한 무한경쟁을 통해 본인들이 이런 능력과 비전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당원들과 국민들에게 검증받아야 된다”고 입장을 내놨다.
한편 김 전 위원장이 혁신위원장이 되는 데 역할을 했다는 비주류 이종걸 의원은 이날 BBS불교방송과의 라디오 인터뷰에서 “김 전 교육감(김 전 위원장) 포함 세 분 출마자를 보면 당이 이렇게 한 세력으로 그냥 형성돼 버렸는가 라는 의문이 날 정도”라며 “김 교육감이 출마를 하겠다고 소식이 전해지면서 훨씬 더 여러 곳에게 나에게 질타하는 그런 게 많이 들어왔다”고 도리어 김 전 위원장에 날을 세웠다.
특히 당권 출마를 고심하고 있기 때문인지 이 의원은 비주류 측 후보가 없는 현 상황을 꼬집어 “더 한쪽 세력으로 강화되는 것은 당에 여러 가지로 좋지 않고 앞으로의 정권 교체를 위한 당의 새로운 구성에 있어서도 역방향으로 가는 것”이라며 “내가 고심고심했지만 아무튼 출마에 더 많은 무게를 두고 고민을 하고 있다”고 비주류 유일후보로 출마할 가능성을 내비쳤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