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운명의 한 달…법정관리 배제 못해
한진해운 운명의 한 달…법정관리 배제 못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용선료 조정 협상, 사채 채무조정 완료가 관건
▲ 글로벌 해운동맹 가입 조건을 달성한 가운데 사채 채무조정과 용선료 인하를 다음달 4일까지 완료해야 한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법정관리 행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한 달여 기간 동안 용선료 조정 협상과 사채 채무조정을 완료할 것이다”고 밝혔다. 사진/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김용철 기자] 한진해운이 법정관리행 열차를 탈지 현대상선처럼 기사회생할지 앞으로 한 달 이후 판가름이 날 것으로 전망된다.

한진해운이 자율협약 마감일인 지난 4일 자율협약 기간을 1개월 더 연장하면서 자금마련이 순탄치 않다는 것이 드러났다.

한진해운은 부족자금 1조2000억 원 마련을 두고 채권단과 팽팽한 기싸움을 진행 중이다. 채권단이 요구한 7000억 원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에 한진해운은 난색이다.

채권단이 선박금융 5000억 원 상환 유예를 전제로 7000억 원을 마련하라고 요구했지만 한진해운은 4000억 원 이상은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며 버티기로 맞서는 형국이다. 한진해운은 4000억 원을 마련하면 채권단이 나머지 부족분을 지원해달라는 입장이지만 채권단은 원칙대로 ‘수용 불가’ 입장이다.

따라서 한진해운이 자율협약 기간을 한 달 연장한 것을 두고 채권단이 부족자금 마련 대책 압박에 백기를 들고 한 달 기간 동안 부족자금 방안 마련에 나서기 위해 기간을 연장한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하지만 법정관리행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채권단이 요구하는 자금 마련이 쉽지 않은 한진그룹의 내부사정과 답보상태인 용선료 인하 협상에서 한 달여 기간 동안 부족 자금 마련을 위해 매각할 자산이 없다는 게 현대그룹과는 다르다는 처지라는 시각이다. 당시 현대상선이 자율협약 신청에 들어가면서 현대그룹은 현정은 회장의 300억 원 사재 출현과 현대증권 자산 매각을 통해 9000억 원 ‘실탄’마련에 나서면서 회생의 길로 접어들었다. 또한 조디악 회장에게 이메일을 보내 용선료 인하를 이끌어 냈다.

그러나 한진해운은 현대그룹처럼 실탄 마련할 매각 자산이 없다는 게 법정관리 행도 배제할 수 없는 이유라는 관측이다. 한진해운은 다음달 4일까지 채무상환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그렇지 못하면 법정관리행이 유력해진다.

채권단의 채무상환 조건은 용선료 인하, 사채 채무조정, 글로벌 해운동맹 가입이다. 이중 글로벌 해운동맹 가입 조건을 달성한 가운데 사채 채무조정과 용선료 인하를 다음달 4일까지 완료해야 한다. 한진해운 관계자는 “법정관리 행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며 “한 달여 기간 동안 용선료 조정 협상과 사채 채무조정을 완료할 것이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