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중팔구 ‘싫은 동료’ 있는 직장인들, 어떤 동료를 가장 싫어할까?
십중팔구 ‘싫은 동료’ 있는 직장인들, 어떤 동료를 가장 싫어할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벼룩시장구인구직 설문조사, 책임회피형-아부형 1, 2위
▲직장인들은 가장 싫어하는 유형의 동료로 ‘책임을 회피하며 핑계만 대는 유형’을 1위로 꼽았다. ‘아부형’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 벼룩시장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일보다 인간관계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직장생활, 대다수 사람들은 역시 직장 내 싫어하는 동료가 십중팔구 하나쯤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렇다면 어떤 유형의 동료를 가장 싫어할까. 

신문, 인터넷, 모바일로 구인구직정보를 제공하는 벼룩시장구인구직(대표이사 최인녕)이 직장인 861명을 대상으로 직장 내 싫어하는 동료가 있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8.2%가 ‘있다’고 답했다. 

특히 직장 생활을 하면서 가장 싫은 동료의 유형으로는 31.8%가 ‘업무를 미루거나 책임을 회피하며 핑계만 대는 유형’을 1위로 꼽았다. 이어 ‘능력보다는 상사에게 아부하며 온갖 이익을 다 챙기는 유형’(29.5%)이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도 ‘입만 열면 회사나 남의 험담을 하는 유형’(18.8%), ‘편 가르기 좋아하는 정치적인 유형’(10.9%), ‘매번 아프다며 제대로 일 안하고 건강관리 못하는 유형’(5.5%),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답답하고 우유부단한 유형’(3.6%)의 순이었다. 

또한 가장 싫어하는 직장동료의 습관은 ‘혼잣말’(36.3%)이 단연 1위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반복적인 기침/재채기’(20.7%), ‘다리 떨기’(17.5%), ‘방귀 뀌기’(11.3%), ‘코 파기’(9.6%), ‘손톱 물어뜯기’(4.7%)가 있었다.

이렇게 싫어하는 직장동료와의 관계에 대해선 대부분의 응답자가 무시하거나 공적인 관계로만 지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너무 싫지만 겉으로 싫음을 내색은 않고 그냥 지낸다’가 46.2%로 가장 많았고 ‘어떠한 관계 형성 없이 무시하며 지낸다’(30%), ‘함께 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잘 지낸다’(19.7%)가 뒤를 이었다. 

아울러 싫어하는 동료가 싫어하는 행동을 할 때의 반응 역시 ‘무시한다’는 응답자가 54.1%, ‘우회적으로 돌려서 표현한다’는 응답자가 32.8%로, 직접적으로 ‘싫다’는 반응을 보이진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편, 싫어하는 동료가 가장 많은 직급은 ‘과장급’(27.1%)이었으며, ‘대리급’(25.9%), ‘사원급’(24.3%), ‘팀장급’(12.7%), ‘차장급’(10%)의 순으로 다양했다.

반면, 직장생활을 하면서 선호하는 동료의 유형을 묻는 질문에는 33.5%가 ‘성실하고 책임감 있는 유형’을 꼽았으며 ‘어려운 일이 있을 때 같이 고민하고 도와주는 유형’(28.4%), ‘예의 바르고 성실한 유형’(23%), ‘유머와 에너지가 넘치는 분위기 메이커 유형’(8.1%), ‘업무적인 능력이 뛰어나 무엇이든 잘 하는 유형’(7.1%)이라고 응답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