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현대제철, 신기술·신제품 개발-모니터링 강화 방침

미국은 지난달 중국산 냉연강판에 522%나 되는 엄청난 반덤핑 및 상계관세를 물리며 자국 산업 보호에 나섰다. 전 세계 철강의 절반을 생산하는 중국이 싼값으로 제품을 쏟아내자 사실상 미국 내에서 중국제품 퇴출 수순을 밟은 것이다. 앞서 유럽연합(EU)도 지난해부터 중국산 철강제품에 18.4~25.3%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무역 보호조치를 취한 바 있다.
중국은 미국의 이런 조치에 반발, 지난 19일 미국산 합금강 제품에 48.5%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며 반격에 나섰다. 이같이 양 대국은 자국의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무역주의’를 적극 강화하고 있다. 여같은 움직임에 한국 업체들도 양 대국의 ‘관세폭탄’을 피할 수가 없었다.
최근 미국 상무부는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해 최고 61%의 반덤핑·상계관세율을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또 지난달 말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냉연강판에는 각각 64.7%, 38.2%의 관세부과가 결정된 바 있다. 지난해 우리나라는 미국에 열연강판 115만t을 수출했는데, 금액으로는 7억달러(약 7,857억) 수준이다.
중국 상무부도 지난달 23일을 기해 포스코가 생산하는 방향성 전기강판(GOES) 제품에 37.3%의 반덤핑관세를 부과키로 했다.
한국철강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24일 이같은 보호무역주의 확산에 대해 ‘글로벌 철강 무역대전’으로 진단했다.
권 회장은 이날 포스코센터에서 열린 ‘스틸코리아 2016‘ 행사 개회사에서 “글로벌 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민관이 합심해 각국의 통상규제 움직임을 주시해야 한다”면서 “현지 철강업계와 통상당국과의 대화 채널을 강화해 사전 통상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더 좋은 제품을 더 저렴하게 시장에 공급할 수 있도록 신기술과 신제품 개발에 과감한 투자를 해야 한다”며 기술 혁신도 강조했다. 현재 포스코의 경우는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등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 관계자도 “2개 팀 단위로 운영하던 통상대응 조직을 최근 3개로 확대 개편했다”고 밝히며, 모니터링 강화 방침 등을 전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