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술국치' 시작점 남산 통감관저터...'기억의 터' 조성
'경술국치' 시작점 남산 통감관저터...'기억의 터' 조성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조감도 / ⓒ서울시 제공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일제의 한일합병 조약이 강제 체결되며 식민시대가 시작된 남산공원 통감관저터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추모공간인 ‘기억의 터로’ 바뀐다.

오는 29일 오후 1시 서울시와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 조성 추진위원회는 경술국치일인 이날 남산 통감관저터에서 민‧관 협력으로 조성한 ‘기억의 터’ 제막식을 갖는다.

경술국치일은 지난 1910년 8월 29일은 일제가 강제로 체결한 한일합병조약을 공포, 국권을 상실한 치욕의 날로 이런 의미를 담아 경술국치일로 불린다. 

이날 행사에는 김복동, 길원옥 할머니 등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와 박원순 서울시장, 양준욱 서울시의회 의장, 기억의 터 최영희 추진위원장과 추진위원, 모금 참여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남산 통감광저터는 한일합병 조약 이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경제적 착취, 정치적 탄압 뿐 아니라 군 위안부라는 여성 인권유린까지 자행됐다는 점에서 강제적 한일합병 조약은 아픈 역사의 시작점이었다.

반세기 지난 현재 이 곳에는 일본군 위안부 ‘기억의 터’에로 기존의 ‘통감관저터 표지석’ 과 ‘거꾸로 세운 동상’이 함께 어우러져 역사적 의미를 더하게 된다. 

한편 서울시는 ‘치욕의 공간’이 한 세기 만에, 시민 참여를 통해 ‘새로운 역사의 공간’으로 거듭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