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태 폭로 내용 출처 놓고 野 ‘靑 개입 가능성’ 제기…金 “출처 안 밝혀” 일축

먼저 더불어민주당에선 우상호 원내대표가 첫 포문을 열었는데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를 통해 그는 “김 의원은 이 자료를 어디서 구했을까. 만일 사정기관이나 정보기관, 산하기관을 압박해 받은 자료라면 그리고 그게 청와대가 제공한 것이라면 그건 국회의원으로서 자기 자존심을 버린 그야말로 하수인으로 전락한 것”이라고 맹비난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우 원내대표는 “현역 국회의원이 유력한 언론사의 주필과 관련된 정보를 연일 폭로하고 당사자인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은 버티기로 일관하고 있다. 버티기와 물타기라고 하는 신종 막장드라마의 소재”라며 “누구의 청부를 받아 폭로전에 개입한다는 건 국회의원으로서 할 일은 아니다”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같은 당 박범계 의원도 이날 CBS라디오 인터뷰에서 “폭로 내용은 송 주필 부분을 제외하더라도 수사 기밀에 해당한다고 보여진다”며 “도저히 사정기관의 범주 안에 들어가지 않으면 입수하기 어려운 자료로 추측되기 때문에 김 의원 스스로 이것에 어떤 입수 경위를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압박에 가세했다.
한 발 더 나아가 박 의원은 우 원내대표와 마찬가지로 ‘청와대 배후설’에 힘을 실었는데, “김 의원의 인지 여부는 변론으로 치더라도 적어도 제보자가 누구냐 제보기관이 누구냐에 따라 고도의 기획에 해당할 수 있다”며 “청와대가 신문 이름은 표현하지 않았지만 부패 기득권 세력으로 규정한 것에 대해 (김 의원이) 조응한 것 아니냐”라고 한층 몰아세웠다.
국민의당 역시 폭로를 이어온 김 의원에 날을 세우는 것은 물론 청와대를 향해서도 비판 수위를 높였는데 양순필 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송 주필 문제가 검사 출신인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에 의해 조직적으로 제기됐다는 점에 많은 국민들이 의구심을 갖고 있다”며 “송 주필 찍어내기가 청와대와 검찰, 여당이 합작해 ‘우 수석 건들면 다친다’는 경고를 보낸 것이란 해석이 돌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러자 김진태 새누리당 의원은 “제가 검찰 출신이고 법사위원이니까 수사팀에서 자료 받은 게 아니냐고 하는데 적어도 수사팀에서 받은 자료는 아니다”라고 반박하면서도 “출처를 정 밝히라고 하면 못 밝힐 이유도 없지만 제가 밝히지 않겠다. 밝히면 조선이 눈을 시퍼렇게 뜨고 보고 있는데 정보를 저한테 준 사람은 어떻게 되겠나. 제가 오해받고 가겠다”고 못을 박았다.
그러면서도 김 의원은 같은 새누리당 의원들이 함께 거들지 않고 있는 데 대해 못내 아쉬웠는지 “야당에선 제가 밝힌 사건에 대해 서별관청문회, 우병우 물타기하는 거라는 둥 활발하게 의견 표명하던데 우리당은 너무 점잖은 게 아닌가”라며 우회적으로 서운한 감정을 내비쳤다.
한편 김 의원은 앞서 지난 26일 기자회견을 통해 “대우조선해양이 지난 2011년 9월 남상태 전 사장의 연임 로비 창구로 의심받는 뉴스커뮤니케이션스 대표 박수환 씨와 유력 언론사의 논설주간을 호화 전세기에 태워 유럽으로 외유성 출장을 다닌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당시 김 의원이 실명을 거론하지 않은 유력 언론사의 논설주간이 누군지에 관심이 모아진 끝에 점차 조선일보 송희영 주필일 것이란 관측이 나오기 시작하자 28일 송 주필은 자사 경영기획실을 통해 취재 차원의 초청에 따른 출장이라고 해명에 나섰다.
하지만 29일 김 의원은 취재 차원의 출장이란 송 주필의 주장을 즉각 반박하며 출장 일정으로 볼 때 사실상 2억원대의 초호화 유럽여행을 다녀왔다면서 송 주필의 실명까지 공개하는 등 압박수위를 높여가자 결국 송 주필은 29일 사의를 표명한 데 이어 30일엔 편집인에서도 물러났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