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국회 보건위 소속 인재근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를 토대로 최근 5년(2011년~2015년) 동안 벌 쏘임 환자 발생 건수는 5만 6,288건, 뱀 물림 환자 발생 건수는 2만 775건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에 따른 사망자도 아직 통계가 확정되지 않은 2015년을 제외하고 4년(2011년~2014년) 동안 뱀물림 9명, 벌쏘임 133명으로 총 142명이 목숨을 잃었다.
월별 벌쏘임 진료 현황을 분석한 결과 벌초와 성묘를 진행하는 8~10월 사이 전체의 63%인 3만 6,497명이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았고, 뱀 물림의 또한 전체의 49.3%인 1만 2,272명이 이 기간에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건강보험료 지출은 총 175억 원이었다.
최근 5년간 벌 쏘임 사고의 지역별 발생 현황을 보면, 경기가 8,088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 7,734건, 경남 7,633건, 전남 6,516건, 경북 5,636건, 충남 5,083건, 전북 5,061건 순이다.
연령별로는 전체 5만 6,288명 중 50대가 26%인 1만 4,834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40대가 20%인 1만1,425명, 60대가 17%인 9,721명, 30대가 11%인 6,418명 순으로 나타났다.
뱀 물림 사고의 지역별 발생 현황은 경북이 3,536건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 3,261건, 전남 2,855건, 강원 2,198건, 충남 2,059건, 경남 1,942건, 충북 1,687건 순이다.
연령별로는 전체 20,775명 중 60대가 24%인 4,951명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50대가 24%인 4,921명, 70대가 22%인 4,566명, 40대가 11%인 2,367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인재근 의원은 “추석을 맞아 벌초와 성묫길에 나설 때에는 사고 예방을 위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며, 벌 쏘임이나 뱀 물림 등 만약의 사고에 대비한 응급조치 요령을 숙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