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주선 부의장 사회로 본회의 열어 ‘추경안 통과’

정 의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저의 개회사는 정말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고자 하는 진심이지 다른 어떤 사심도 없다”면서 “국회의장직은 항상 국민의 기준에서 국민을 생각하면서 진행해야 한다는 게 제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추경안 처리가 자신의 개회사로 촉발된 논란 때문에 지연된 점을 들어 “이렇게 제때 민생 현안이 처리되지 못한 것에 대해 국민 여러분께 송구하게 생각하고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또 정 의장은 “저의 개회사와 관련해 새누리당 의원들이 많은 지적을 했다. 그 부분은 무겁게 받아들이겠다”고도 덧붙였는데, 당초 새누리당이 ‘공식 사과’ 표현을 담을 것을 요구한 데 비하면 수위가 낮지만 부의장에게 사회권을 이양한다는 점을 수용한 부분이 합의에 물꼬를 튼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가운데 이번 사태와 관련해 여당 측 대표로서 정 의장과 협상해온 정진석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정 의장과의 합의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사회권을 부의장에 이양하라는 요구를 끝내 관철시킨 것에 대해 “우리 모두가 혼연일체로 한 마음, 한 뜻이 돼 힘을 한 데 모아 이룬 결과”라며 “우리가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것, 잃어버렸던 것을 되찾은, 매우 소중한 우리의 힘을 확인하는 계기”라고 자평했다.
그러면서도 정 원내대표는 “국회의장이 정기국회 첫 안건 처리를 부의장에게 이양하는 결심은 쉽지 않았을 것”이라며 “지금 비로소 찾은 이 힘을, 정성을, 인내를, 이런 우리의 새로운 동력이 지속가능하게 유지되는 게 필요하다”고 역설해 앞으로 여소야대 상황일망정 대선에 이르기까지 강공으로 돌파해나가겠다는 가능성을 내비쳤다.
실제로 이날 정 의장이 뜻을 굽히게 된 데에는 정 의장의 갑작스런 변심이라기보다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이 적극 행동에 나선 데 따른 것으로 알려졌는데, 서 의원은 서울 모처에서 정 의장과 단독으로 만나 추경 처리를 위해 부의장에게 사회권을 이양하는 조건으로 우선 대치 상황을 종결시키자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처럼 본회의 사회권이 국회 부의장에 이양됨에 따라 이날 밤 즉각 본회의를 개최한 여야는 박주선 부의장의 사회로 추경안을 상정해 총 투표자수 217명 중 210명 찬성, 7명 기권으로 약 11조원 규모의 추경예산을 통과시켰다.
국회에 제출된 지 39일 만에 처리된 이번 추경안은 이미 처리시한도 넘긴데다 당초 정부 원안보다 1054억원이 순삭감됐지만 이날 통과에 이르기까지 수차례 진통을 겪었던 만큼 더 지체되지 않고 처리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나마 다행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