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러시아 대통령 “평양의 자칭 핵보유국 지위 용인할 수 없어”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에서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뒤 열린 공동기자회견을 통해 “러시아 정부가 확고한 북핵불용의 의지를 갖고 안보리 결의 이행과 북한의 추가적 도발 억지를 위한 건설적 역할을 수행해주고 있는데 대해 감사를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국제사회가 과거와 다른 시급성과 강력한 결의를 갖고 북핵·미사일 문제를 다루지 않을 경우 동북아 지역 뿐만 아니라 전체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이 크게 위협받게 될 것”이라며 “저는 북핵·북한 문제 해결에 있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또 박 대통령은 한반도 사드 배치 문제를 암시한 듯 “북한이 추가 핵실험 위협과 함께 핵 선제공격까지 공언하고 있는 상황에서 날로 고도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과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비롯한 탄도미사일 위협은 불과 수분의 사정거리에 있는 우리에게는 삶과 죽음의 문제”라며 “이런 상황에서 책임있는 정부라면 국가안위와 국민의 생명 보호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강구해나갈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당위성을 역설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북한을 향해서도 “북한은 진정성 있는 자세로 비핵화를 위한 대화와 개방의 길로 나서야 한다”면서 “그렇게 되면 우리는 기꺼이 북한에게 평화와 공동번영으로 나가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제안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푸틴 러시아 대통령 역시 박 대통령과 한 목소리로 북한의 핵·미사일에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는데 “우리 두 나라(한국과 러시아)는 평양의 자칭 핵보유국 지위를 용인할 수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특히 그는 북핵으로 인해 한반도에 사드 배치로까지 이어지게 된 점을 꼬집어 “러시아는 한반도 핵문제가 동북아에서의 전반적인 군사정치 (문제) 완화를 위해 해결돼야 한다고 본다”며 “(우리는) 군사대립의 수준을 저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고도 목소리를 높였다.
한편 청와대 측은 이번 회담 결과에 대해 “양국 정상은 사드 문제를 포함한 한반도 및 동북아의 전략적 안전 문제와 관련,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건설적인 의견 교환을 가졌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