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수사 용두사미 끝나나…경영공백 장기화
롯데 수사 용두사미 끝나나…경영공백 장기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인원 부회장 죽음 핵심 증언 사라져 수사 난관 봉착
▲ 신 총괄회장에게 모든 책임을 몰고 실무 지시를 이 부회장이 했다는 것으로 몰고 가면 검찰수사는 반쪽짜리 수사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이다. 검찰 수사 방향이 롯데 비자금 수사에서 ‘급여 횡령 혐의’수사로 선회할 가능성이 고개를 들고 있다. 사진/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김용철 기자] 롯데그룹 비자금 조성 과정에서 롯데그룹 정책본부가 모종의 역할을 한 것으로 보고 정책본부 3인방의 집무실과 자택을 수색하고 검찰 소환을 앞둔 상황에서 고(故) 이인원 롯데그룹 2인자 이인원 부회장의 자살로 롯데그룹 비자금 조성 의혹의 검찰수사가 용두사미로 끝날 전망이 고개를 들고 있다. 또한 신동빈 회장의 소환이 추석 이후 예정돼 있어 롯데그룹의 경영공백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5일 소진세 정책본부 대외협력단장이 서울중앙지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가 진행 중이지만 실질적인 핵심 인물로 지목됐던 이인원 부회장이 없는 상황에서 얼마나 수사가 진척될지 부정적 기류가 돌고 있다.

검찰은 오너 일가의 비자금 의혹에 연루됐을 가능성에도 무게를 두고 정책본부에 소속돼 있는 소진세 사장을 검찰이 지난달 15일에 이어 피의자 신분으로 재소환 했지만 ‘비자금 조성은 없다. 관여하지 않았다’는 것으로 일관할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전망은 이인원 부회장의 유서에서 “2015년까지 모든 것은 신격호 총괄회장이 지시했다”는 말을 남기고 “신동빈 회장은 훌륭한 사람이다. 롯데그룹은 비자금을 조성한 일이 없다”는 내용으로 모든 혐의를 부인한 바와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외에 신격호 총괄회장의 경우 치매약 복용 사실과 한정후견인 개시 결정으로 온전한 정신 상태가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고 고령으로 조사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또한 이 부회장이 롯데그룹과 오너 일가의 다리 역할을 했던 터라 그의 죽음으로 의혹들을 풀 열쇠를 잃었다는 점에서 정책본부 경영진들이 신 총괄회장에게 모든 책임을 몰고 실무 지시를 이 부회장이 했다는 것으로 몰고 가면 반쪽짜리 수사가 될 가능성이 높다는 시각이다. 오너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은 의혹 수준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은 이유다.

그래서인지 검찰 수사 방향이 롯데 비자금 수사에서 ‘급여 횡령 혐의’수사로 선회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다. 신동빈 회장과 경영권 다툼 중인 신동주 전 부회장이 롯데그룹으로부터 등기이사로 재직 당시 400여억원의 급여를 받은 혐의를 받고 있는데 이 돈을 신동빈 회장이 챙겨줬다는 의혹이 일고 있다. 이게 사실로 입증될 경우 신 회장은 횡령 혐의가 적용 사법처리를 피하기 어렵게 된다.

신 회장은 추석 이후 검찰에 소환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정책본부 실무진과 신 전 부회장도 재차 소환된다. 이 과정에서 핵심 경영진이 구속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인원 부회장 죽음으로 경영공백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핵심 관계자들의 구속은 경영공백 장기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조직 추스르기 나서야 하는 당면 과제를 안고 있는 만큼 경영공백을 메우기 위해 조기인사설이 고개를 들고 있는 분위기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