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보건복지부는 최근 연이은 의료기관의 C형간염 집단발생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자 C형간염 환자의 조기 발견 및 치료를 지원하고 감염확산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마련할 ‘C형간염 예방 및 관리 대책’을 발표하고 본격적으로 추진키로 했다.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까지 서울, 원주, 제천 등 의료기관의 일회용 주사기 재사용 등으로 인한 C형 간염 집단 발생 사건은 상기 3개 의료기관에서만 2만 명이 넘는 환자를 대상으로 역학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500명이 넘는 C형간염 항체 양성자가 확인되는 등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준 바 있다.
이에 따라 복지부는 올해 2월12일부터 C형간염 집단감염의 주요 원인이라 판단되는 일회용 주사기 사용 근절을 위해 신고센터 설치 및 현장조사 등을 포함한 종합 관리방안을 발표하고 그 후속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C형 간염은 아직 백신이 개발돼 있지 않아, 조기에 환자를 발견해 치료를 통한 감염확산을 방지하는 것이 최선이다. 이에 따라 기본 전략은 우선 감염을 일으킬 C형간염 환자(감염원)를 조기에 발견·치료함으로써 감염원 자체를 줄이고, 주사기 재사용 등 감염전파 행위를 강하게 단속함으로써 감염 확산을 방지키로 했다.
이를 위해 의료기관의 감염관리 의지 및 역량을 제고시켜 궁극적으로 의료질을 향상시킴으로써 C형간염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감염병의 관리능력까지 향상시킨다는 것이다.
우선 현재 ‘표본감시 감염병’ 체계로 돼있는 C형간염의 관리 체계를 ‘전수감시 감염병 체계’로 전환시켜 C형간염 환자를 조기에 발견한다. 또 국민건강검진에 C형간염 검사 도입도 고려하고 있다. C형간염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선정된 고유병지역의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자에게 우선적으로 C형간염 검사를 시범실시하고, 시범실시 결과 등을 바탕으로 전국 확대 시행 여부를 검토한다.
뿐만 아니라 감염 확산 방지를 위한 단속을 강화해 의료용 기구의 도입 폐기 여부를 확인할 방침이다. 이외 의원급 암검진기관의 내시경 소독불량에 따른 감염 우려에 대한 감염 관리 조치도 실시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