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대피시설인 학교 '내진설계' 이모양인데...
지진 대피시설인 학교 '내진설계' 이모양인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병욱, 매해 천억 넘는 재해대책특별교부금 본래 목적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어
▲ 지자체 학교시설 내진성능확보가 20%미만인 지자체 현황 / ⓒ김병욱 의원실 제공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지진 유사시 대피시설인 학교가 오히려 위험하다는 지적이다.

13일 국회 교문위 소속 김병욱 의원은 교육부로부터 제출 받은 229개 지자체별(시군구단위) 학교시설 내진설계 현황을 토대로 내진 성능을 50% 이상 확보한 지자체는 세종, 오송, 부산 기장군, 울산 북구, 경기 화성 5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내진성능이 40%이상~50%미만인 지자체는 부산북구, 대구북구, 충남 계룡, 경기 5곳, 8곳으로 나타났고, 30%이상~40% 미만인 지자체는 성남을 비롯한 경기 8곳과 서울 마포를 비롯한 6곳 등 35개 지자체로 나타났다.

이외 20%이상~30%미만 지자체는 관악을 비롯한 서울 20곳, 포천을 비롯한 경기 9곳 등 85개 지자체, 20%미만 지자체는 경주를 비롯한 경북이 19개로 가장 많았으며 경남 13개, 전남·전북 12개, 강원 8개, 충남·경기 7개 등 96개 지자체로 전체 41.9%를 차지했다.

특히 경북은 22개 지자체 중 칠곡, 포항, 김천을 제외한 19개 지자체가 내진성능 확보를 20%미만으로 한 것으로 나타나 가장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재난이 발생하면 학교가 재난대피시설로 사용되는데, 현재 우리 학교건물은 지진이 발생하면 대부분이 대피시설이 아닌 위험시설이나 다름없다”며 “매해 천억이 넘는 재해대책특별교부금이 본래의 목적대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