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靑 압박에 한진해운 지원 ‘고심
대한항공, 靑 압박에 한진해운 지원 ‘고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사회 4차례 열어도 결론 못 내려
▲ 대한항공 자체 자금 투입은 배임 논란으로 불거질 수 있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현재로선 대한항공의 600억원 지원의 마땅한 카드가 없다는 점에서 대한항공의 고심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김용철 기자] 대한항공의 한진해운 지원이 사실상 답보 상태에 빠지면서 자금지원 묘책 찾기에 나선 상황이지만 쉽지 않아 보인다.

대한항공은 한진해운의 대주주로 조양호 회장의 400억원 사재와 함께 600억원을 지원 한진해운 발 물류대란의 급한 불을 끄려고 했지만 미국 LA 항구 롱비치터미널 지분을 담보로 잡고 600억원 대출이 불가능해진 상황이다. 롱비치터미널 지분에 대한 담보대출기관 6곳과 대주주 1곳에 동의를 받아야 하는 게 쉽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대한항공은 지난 18일 이사회를 열고 지원방안 해법 찾기에 나섰지만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대한항공 자체 자금 투입은 배임 논란으로 불거질 수 있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

현재로선 대한항공의 600억원 지원의 마땅한 카드가 없다는 점에서 대한항공의 고심은 깊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18일 이사회 이후 현재까지 이사회가 열리지 못한 것은 해법이 쉽지 않다는 방증이다.

한진그룹은 지난 8일과 9일 10일 19일 총 4차례 해당 안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진행했으나, 사외이사진은 법정관리에 들어간 기업의 담보 취득이 불확실하다는 점 및 배임으로 인한 법적 문제로 인해 먼저 담보를 취득하고 난 후 600억원을 집행하자는 안을 고수한 바 있다.

한진그룹이 이처럼 다급하게 해법 찾기에 나선 것은 청와대에서 한진그룹의 책임론을 거론하면서 문제 해결에 나서라는 압박을 한 상황이다. 앞서 한진그룹은 한진해운에 1조원에 육박하는 그룹 자금을 쏟아 부었지만 결국 법정관리를 피하지 못했다. 일각에선 앞서 출연한 400억원 사재 외에 추가 사재출연을 해야 하는 것도 거론되고 있다.

한편 20일 업계에 따르면 물류대란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진해운 보유 컨테이너 97척 중 하역 완료 28척, 국내 복귀 예정 35척인 가운데 집중 관리대상 선박은 34척으로, 지난 14일 이후 2척 감소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뉴욕, 싱가폴, 만잘리노(멕시코) 등에서도 다음주 초 하역을 목표로 협상 진행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