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점진적으로 금리 인상할 가능성 높아져

미연준은 이날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현 기준금리인 0.25%∼0.50%를 유지하기로 했다.
미국은 2008년 12월 기준금리를 0~0.25%까지 내린 이후 계속 초저금리를 유지해오다 지난해 12월에야 0.25%p를 인상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미연준은 "연준의 목표들을 향한 지속적인 진전의 추가 증거를 당분간 기다리기로 결정했다"며 "비록 실업률이 최근 몇 달 간 거의 변화가 없지만(지난달 기준 미국 실업률은 4.9%) 고용 상황은 견고하고, 가계소비는 강하게 늘고 있지만 기업들의 고정투자가 약세"라고 동결 이유를 설명했다.
미국 경제가 회복세로 가는 것은 수긍하면서도, 아직은 확고하지 않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 강했던 셈이다.
그러면서도 "미국 경제가 직면한 단기 위험요인들이 거의 상쇄됐다"며 "연방 기준금리의 인상 여건이 최근 강화됐다"고 밝혀, 대선 한 달 뒤인 12월경 금리를 인상할 것임을 시사했다.
한편, 미연준은 2017∼2018년 예상 금리인상 횟수를 당초 3차례에서 2차례로 낮춰 잡았다.
미국이 금리인상을 예고함에 따라, 한국도 점진적인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생겼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에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빠져나갈 우려가 있는 만큼, 달러 유출을 막기 위해서 금리를 자연스럽게 올릴 수밖에 없다.
그렇게 되면 가계부채 문제도 더욱 수면 위에 떠오르게 된다. 은행으로부터 돈을 대출한 가계들도 더 많은 이자를 갚아나가야 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미 연준의 금리 인상 임박과 관련,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할 경우 한국 시장에 주는 타격이 크기 때문이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22일 서울 여의도 수출입은행에서 제47차 거시경제금융회의에서 “연내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진 만큼, 가계부채 등 우리경제의 잠재적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