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노조 파업 임박하자 정부 '비상수송대책' 시행
철도노조 파업 임박하자 정부 '비상수송대책' 시행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파업 장기화 우려 버스노선 연장·증편 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
▲ 사진은 지난 10일 서울역광장에서 열린 철도노동자 2차 총력 결의대회 당시 모습 / ⓒ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 / 이선기 기자] ‘성과연봉제’ 도입 저지를 위한 철도노조 파업이 예고되자 정부는 비상수송 대책을 시행한다.

23일 국토부는 오는 27일 철도노조 파업에 따른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더욱이 철도는 국민 생활과 밀접한 교통수단으로서 재난 발생 시 대규모 인명피해가 우려되기 때문에 집중적인 안전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일단 정부는 철도 파업시 우선 출퇴근 교통 불편이 없도록 전동차는 대체인력을 우선 투입해 평시와 같은 운행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원활한 중장거리 여객 수송을 위해 KTX도 정상 운행할 계획이다. 

평시 대비 60% 수준으로 운행이 줄어들게 되는 새마을·무궁화 등 일반열차 수요에 대해서는 버스 등 대체교통수단을 확보해 지원할 예정이다.

또 화물열차 파업을 대비해 미리 수송하는 조치를 취하는 한편, 파업기간 중에도 특수·긴급 화물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화물자동차로 전환하여 수송하는 방안도 적극 지원한다. 

뿐만 아니라 철도 파업 장기화를 대비해 통근 및 광역열차 운행에 차질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버스노선 연장·증편 운행, 택시부제 해제 등을 통해 출퇴근 교통난을 완화시킬 전망이다.

또 필요에 따라 평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의 여유좌석과 예비 편성 투입, 항공기의 여유좌석을 통해 처리하고, 교통상황에 따라 필요시 추가 증편운행 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정부는 오는 25일부터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7일 철도파업에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국민의 안전을 위해) 철도종사자들이 이탈하지 않고 본연의 자리를 지켜 줄 것”을 당부하며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법에 따라 단호하게 대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