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수 당시보다 주가 반토막 주가 끌어올려야

산업은행은 대우건설의 최대주주로 대우건설 인수 당시 전액을 출자한 사모펀드 ‘KDB밸류제6호’를 통해 대우건설의 지분을 50.75% 보유 중이다. 산업은행에 따르면 ‘KDB밸류제6호’가 내년 10월 만기되면서 이 시점에 대우건설 매각 방침을 세웠다. 이에 따라 올해 연말이나 내년 초 매각 공고를 내고 주관사를 선정 매각 추진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건설업계는 대우건설이 매물로 나오면 여러 인수 후보들이 입질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우건설이 10분기 연속 흑자행진을 이어가고 있고 주택경기가 지속적인 호조세를 이어가고 있어 건설업체들이 대우건설 매물로 나오면 상당한 관심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업계에 따르면 인수후보군으로 자금 실탄을 쌓아두고 있는 부영그룹과 SK건설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 시장에선 구체적인 인수 의사를 드러낸 곳은 없다. 문제는 대우건설 인수당시에 비해 현 주가흐름으로 매각을 단행할 경우 산업은행의 손실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산업은행이 대우건설 인수 당시 주가는 1만5000원선으로 현재 주가 6260원(26일 12시기준)보다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업계는 현 지분으로 매각하면 손실만 1조5000억원에 이를 것이란 추산이다. 따라서 산업은행이 인수 당시 가격과 비슷한 수준에서 매각을 단행하기 위해선 지분가치를 끌어올려야 한다. 그러나 현 상황이 그렇게 녹록치 않다는 점이 내년 매각을 쉽게 단정 지을 수 없다는 게 산업은행의 고민이다.
산업은행은 박영식 전 대우건설 사장 당시 지분 가치 부양을 주문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인수 당시에 비해 주가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따라서 이번 새로 선임된 박창민 사장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박 사장은 현대산업개발에 30년 넘게 몸담으면서 현대산업개발 사장으로 재임하면서 주택분야 전문가로 꼽힌다. 대우건설이 해외사업에 강점이 있는 만큼 해외사업을 토대로 지분 가치 상승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대우건설 매각의 성패 여부는 박 사장의 경영성과를 통해 인수 당시 지분가치 만큼 끌어올리는 것에 초점이 맞춰질 전망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