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손실 절반, 산업은행 관리기업에서 발생

26일 채이배 국민의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주채권 은행별 기업구조조정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8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14개 주채권 은행이 대기업 81개, 중소기업 103개 등 총 184개의 기업에 대해 자율협약 및 워크아웃을 진행했다.
184개 기업 중 워크아웃을 정상적으로 졸업한 기업(M&A 포함)은 50개에 불과했다.
80개 기업은 파산, 법정관리, MOU약정 불이행 등으로 정상화되지 못했다. 대기업은 81곳 중 25곳, 중소기업은 103곳중 절반 이상인 55곳이 정상화되지 못했다. 현재 54개 기업은 현재 워크아웃 등 구조조정이 진행 중이다.
채이배 의원에 따르면, 184개 기업의 구조조정 직전 익스포저 금액(위험노출액)은 총 46조608억이었고, 채권 금융기관이 이들 184개 기업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추가로 지원한 자금은 25조 7천794억원에 달해, 총 투입자금은 71조8천402억원이다. 이중 회수금액은 약 22%에 해당하는 15조804억에 불과하다.
기업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회수금액이 증가할 수는 있지만, 현재 기준(올해 6월)으로는 최대 약 56조359억의 평가손실이 예상된다고 채 의원 측은 설명했다.
특히 전체 손실규모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28조 7천355억원은 산업은행이 관리하는 기업에서 발생했다. 국민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농협, 수출입은행 등도 각각 3조~5조원대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산됐다. 구조조정 개시 후 투입한 추가 지원 자금 대비 회수금액도 산업은행·신한은행은 회수율이 굉장히 낮았다.
산업은행이 관리하는 회사는 총 60곳으로 이들 회사에 13조 2,912억을 추가로 투입했으나 회수금액은 4조 736억에 불과, 추가 투입한 금액의 31%를 회수하는 데 그쳤다. 또한 신한은행의 경우 9천1억을 투입한 반면 회수금액은 2563억(약 28%)에 그쳤다. 다만 신한은행에 대해선 새누리 정권과의 정경유착으로 의심되는 경남기업 워크아웃을 제외하면 회수율이 215.7%까지 올라간다고 채 의원은 설명했다.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이 주채권은행으로 관리한 기업의 구조조정 성공률은 각각 23%(60곳중 14곳), 27%(15곳중 4곳), 25%(4곳중 1곳)에 불과했다. 또 구조조정 개시 후 수출입은행과 산업은행이 주채권은행인 경우 구조조정 개시 이후 추가지원한 자금의 회수율은 각각 85%, 31%에 그치고 있어 추가 투입된 자금마저도 회수하지 못하고 있다.
채이배 의원은 이같은 낮은 회수율에 대해 “정부 주도의 구조조정은 정치적 요소가 고려되어 자본시장의 구조조정을 왜곡·지연하고 나아가 부실을 키우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