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여파 협력업체 피해 고스란히 반응 냉담

생산성과에 따라 임금 인상은 당연히 요구할 수 있는 문제고 이에 따른 사측도 이를 반영한 임금 인상을 해야 한다. 여기서 문제는 현대차노조와 사측이 임금인상 잠정합의안 도출을 이끌어 내면서 파업중단 수순으로 갈 것 같은 분위기는 8월 26일 실시한 조합원 찬반투표에서 조합원 3만5천727명(78.05%)이 반대해 부결되면서 한달 가까이 부분파업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이다.
◆12년 만에 전면파업 협상타결 ‘안갯속’
현대차노조는 그동안 부분파업으로 단행한 그동안의 방침을 철회하고 26일 하루 전면파업 수순을 밟은 데 이어 27일부터 30일까지 하루 6시간 부분파업을 단행한다고 밝혔다. 부분파업 강도도 4시간에서 2시간 연장된 6시간으로 사측을 압박하고 있다.
전 조합원이 참여하는 전면파업은 12년 만에 처음으로 장기파업까지 염두에 둔 수순으로 임금안을 포함한 추가 제시안을 사측에 요구하고 있다. 1차 잠정합의안 당시 사측은 임금피크제 확대를 철회한 화답으로 현대차 노사는 지난달 24일 임금 5만8000원 인상, 성과급 및 격려금 350%+330만원, 주식 10주 지급 등에 잠정 합의한 바 있다.
하지만 조합원들이 ‘지난해에 비해 임금인상이 미흡하다’는 생각에 1차 잠정합의안을 깨면서 한달 넘게 노사가 공방만 벌이고 양보 없는 대치로 나가고 있다. 현대차 역시 추가안 제시 요구는 신의성실 위반이라며 물러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1차 잠정합의안에 현대차노조 집행부에서 조합원을 설득해야 했음에도 조합원 설득 실패가 작금의 사태로 이어졌다는 비판에 자유롭지 못하다. 이로 인한 피해는 19차례 부분파업으로 이어졌고 피해액만 2조4천억원, 생산차질은 9만2500여대에 이르는 역대 최대 규모다.
부분파업 3일, 전면파업을 2일이나 단행했던 2004년 생산 차질 1만8994대, 손실액 2631억원보다 피해액은 10배, 생산차질은 5배에 이른 규모다. 더욱이 심각한 것은 노조 파업이 길어질수록 협력사들의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데 있다.
◆협력업체 피해 눈덩이 지역경제에도 타격

현대차 협력업체 근로자수는 3만 명에 이르며 협력업체수는 울산지역에 1차 40여 개, 2차는 500여 개 정도다. 현대차의 납품을 받는 중소기업들은 파업의 피해를 고스란히 받고 있다. 파업이 지속되면 당연히 일감이 줄어들면서 직원들의 월급이 줄어들고 급기야 협력업체 줄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
파업 당시 전만 하더라도 잔업에 특근까지 협력업체 직원들의 지갑은 두둑한 돈으로 채워졌지만 현 상황이 지속되면 직원들은 일터를 잃을 수 있다. 이로 인한 피해는 지역 경제의 내수진작에 찬물을 끼얹어 지역경제 타격으로 이어진다. 때문에 노조의 파업을 보는 울산시민들이나 협력업체의 시선은 싸늘하다. 현대차노조를 ‘귀족 노조’로 불리는 이유도 1억대 연봉을 받으면서 일상적인 파업을 일삼는 데 따른 비판이다.
2달전 울산시민사회단체는 현대자동차 파업을 두고 자제를 촉구한바 있다. 이들은 “파업을 멈추고 위기 극복에 전심전력해 달라”고 호소했지만 최근 상황을 보면 파업 장기화는 불 보듯 뻔한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대차 노사가 하루라도 빨리 상생 협력방안을 찾지 않으면 심각한 위기에 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때문에 해외사례를 통해 현대차 노사도 위기를 극복하는 방안을 찾을 때라고 주문한다. 2007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치자 자동차업계도 휘청거렸다. 당시 미국자동차 ‘빅3’인 GM·포드·크라이슬러의 노조는 위기를 극복하고자 임금인상 대신 이익공유제에 합의해 경영 정상화의 발판을 마련한 바 있다. 따라서 현대차노조도 임금인상만 추구하지 말고 양보와 타협으로 출구모색을 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