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속사, 보컬-춤-교육 등 1인당 147.6만 원 지출

12일 국회 교문위 소속 김병욱 의원이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2015 대중문화예술산업 실태 보고서’에 따르면 기획사 중 소속연습생이 있는 곳은 18.2%였고, 이들 3곳 중 2곳이 연습생 계약서를 작성하고 있었다.
특히 이들의 평균 계약기간은 약 3년 5개월(41.3개월)로 나타났고, ‘5년 이상’ 연습생 계약을 체결했다고 답한 비중이 41.4%로 가장 많았다.
즉, 데뷔 가능여부와는 상관없이 소속사에 묶여 있어야 하는 이른바 ‘노예계약’이 이뤄진다는 것으로 연습생 가운데 28.9%는 미성년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또 연습생의 평균 데뷔 기간은 ‘연기자’의 경우 약 2년(24.5개월), ‘가수’는 약 2년 2개월(26.4개월), ‘모델’은 1년 8개월(20.8개월)로 조사됐다.
다만 이 수치는 ‘데뷔’를 한 연습생의 평균 값으로 연습생 계약은 데뷔를 보장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로 데뷔를 하는 연습생의 비율은 알 수 없다.
또 자료에 따르면 소속사가 데뷔를 위해 연습생에서 각종 보컬·춤 트레이닝, 인성교육, 어학 수업, 성형비용 등을 투자하는 비용으로는 1인당 월 평균 147.6만원의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교육비용은 90.7만원을 차지했다. 교육방식은 주로 직접교육과 위탁교육을 병행하는 것(60.3%)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소속사는 연습생이 타사로 옮기는 상황을 막기 위해 ‘연습생 계약서’를 체결하게 되는데, 계약서는 ‘소속사의 의무’를 상세히 기술하지 않거나, 계약기간이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아 노예계약을 방불케 하는 둥 기획사들이 갑의 지위를 이용하여 불공정하게 체결한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이번 보고서는 사회적으로 ‘노예계약’ 논란이 되고 있는 연습생 계약 실태의 일단에 대해 처음 조사했다는데 의미가 있다”며 “이후 보다 상세한 실태조사와 함께 연습생 표준계약서 마련 등 노예계약 논란 해소에 힘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