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피해 신고건수 1천건 돌파, 운송 지연으로 추가 부담금액 급증

김정훈 새누리당 의원이 14일 선주협회·무역협회, 중소기업청, 코트라(KOTRA)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4개 기관이 접수한 한진해운 피해·애로 건수는 1천89건에 달했다.
기관별로 보면 선주협회와 무역협회가 9월1일~10월12일 접수한 한진해운 관련 피해건수는 총 560건, 상품가액은 2억3천225만달러(약 2천625억원)에 달했다. 피해기업이 취급하는 주요 물품은 기계·자동차 부품, 원자재 등이었고 운송 지연으로 발생하는 추가 부담금액도 2억6천805만달러(약 3천34억원)에 달했다.
또 같은 기간 중소기업청이 전국 14개 신고센터를 통해 접수한 피해사례는 252건이었으며 유형별로는 납기지연에 따른 애로 135건(54%), 결제지연 48건(19%), 물류비 증가 35건(13.9%). 거래처 상실 16건(6.3%), 선적대책 12건(4.8%) 등이 뒤를 이었다.
코트라는 해외지사별로 277건의 피해를 접수했다. 유형별로는 역시 납기지연이 168건(60.7%)으로 최다를 차지했고, 하역비 등 추가비용 발생 31건(11.2%), 다른 선사 운송비 급등 27건(9.8%), 화물압류 15건(5.4%), 원자재 수급 차질로 인한 생산 지연 9건(3.3%), 판매 시기 경과 6건(2.2%) 등의 순이었다.
피해 발생국가로는 미국 74건(26.1%), 중국 20건(7.2%), 스페인 17건(6.1%), 호주 16건(5.8%), 독일 15건(5.4%), 파나마 10건(3.6%) 순이었다.
한진해운 사태에 중소기업청, 기업은행, 기술보증지금, 신용보증기금 등이 지원을 하고 있으나 급증하는 피해기업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데에는 큰 한계가 있었다.
한진해운은 물류대란이 해소된 뒤, 청산 절차를 밟게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해운업계는 한진해운의 컨테이너선 규모를 50여척으로 줄이고 미주노선 전문 정기선사로 회생시켜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
지난 12일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제3회 마리타임 코리아’ 오찬포럼에서 김영무 한국선주협회 부회장은 “한진해운은 미주노선에만 집중하고 동남아 항로는 근해선사와 협업체제로 서비스하면 (회생)가능성이 있다”면서 “컨테이너선 55척을 가진 미주노선 전문 정기선사로 회생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한진해운이 운영하는 컨테이너선이 97척인 것을 감안하면, 규모가 대폭 축소되는 셈이다.
한진해운 회생계획안 제출 시한은 오는 12월 23일까지로, 남은 시간은 두달여 뿐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