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문재인, 北과 내통” - 추미애 “말 같아야 답하지”

이정현 새누리당 대표는 이날 국회 앞 한 식당에서 기자들과 오찬 간담회를 가진 가운데 “이 문제는 매우 중대하고 심각한 사안”이라며 “사실상 북한의 인권 탄압에 동조하며 북한과 내통한 것”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같은 당 염동열 수석대변인도 이날 당 공식 논평을 내고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동족의 인권’보다 ‘북한정권’을 더 받드는 문재인 전 대표는 지도자의 자격은 물론 인류의 인권에 대해 거론할 자격조차 없다”며 “이게 바로 문 전 대표의 정체성을 의심케 하는 일이고 국기를 문란하게 한 사태”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그러면서 염 대변인은 ‘박근혜 정권의 각종 의혹을 덮기 위해 10년 전 사건을 새삼 이슈화시켜 색깔론 공세를 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선 “색깔론이라고 과민반응 보이는 것도 마치 도둑이 제 발 저린 격”이라며 “10년 전이건 20년 전의 일이건 대한민국의 정체성과 인류 보편적 가치를 파괴한 사건을 올바로 알리고 바로잡는 일만큼 중차대한 일은 없다”고 반박했다.
한편 추미애 민주당 대표는 이 같은 여당의 반응과 관련해 같은 날 오후 서울 마포구청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기자들로부터 질문이 쇄도하자 “말이 말 같아야 답을 하지”라며 손사래를 치고는 일일이 대응하지 않겠다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민주당은 이날 윤관석 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새누리당이 야권의 유력 대선후보를 깎아내리고 권력게이트에 쏠린 국민의 시선을 돌리기 위해 정치공세를 펼치는 것은 정말 후안무치하다”며 “문 전 대표의 북한 인권 개선에 대한 의지는 지난 대선 당시 그가 밝힌 인권선언을 통해 분명하게 확인됐다”고 맞대응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된 문 전 대표는 앞서 이날 오전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당시 유엔에서의 북한 인권결의안 표결에 대해 정부의 입장이 결정되기까지 민주적 의사진행과정을 통해 노무현 전 대통령과 논의한 끝에 결정된 것이지 대통령이 시스템을 무시하고 사적인 채널에서 혼자 결정하는 일은 없었다면서 “청와대의 의사결정과정이 이래야 한다. (박근혜 정부는)노무현 정부를 배우기 바란다”고 도리어 역공을 가한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