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통·종복’ 발언한 與 일부 주요당직자 대상 명예훼손 등 법적 대응 방침

윤관석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 직후 기자들에게 “당시 (결의안과 관련해) 북한의 입장을 확인할 이유도, 필요성도 없었다”며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하는 발언에 대해 신속하게 법적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윤 대변인은 법적 대응할 대상에 대해선 “그것(회고록)을 정치적으로 공세하는 새누리당의 몇몇 당직 의원들이 있지 않나. 내통, 종복 이런 부분”이라고 말해 일단 문재인 전 대표에게 전날 “북한과 내통한 것”이라고 비판한 이정현 대표와 같은 날 당 TF회의에서 마찬가지로 문 전 대표에 “종북을 넘어 (북한의) 종복(從僕) 아니냐”고 지적했던 박명재 사무총장 등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
이에 그치지 않고 이날 윤 대변인은 “새누리당의 정치공세는 국감에서 미르재단 의혹 등 비선실세 국정농단에 대한 국민적 의혹이 게이트로 번져 나가자 또 다시 낡은 색깔론의 보자기로 덮어보려는 처절한 몸부림”이라며 “문 전 대표는 (안보정책 조정)회의에서 그런 (북한 입장을 확인하는 등의) 역할이나 위치에 있지 않았다”라고도 주장했다.
민주당은 앞서 우상호 원내대표가 이날 열었던 기자간담회를 통해서도 문 전 대표의 결백을 주장했는데, 우 원내대표는 “당시 비서실장이었던 문 전 대표는 찬성 의견을 피력했다”며 “그러나 다수가 기권 의견이어서 최종적으로 기권으로 결정됐을 때 다수 의견을 따랐다는 게 팩트”라고 도리어 ‘송민순 회고록’ 내용과 완전히 상반된 주장을 펴기도 했다.
이와 맞물려 문 전 대표 외에 회고록에 등장한 다른 인물들도 송 전 외교부장관의 회고록 내용에 한 목소리로 반박하고 나섰는데, 당시 통일부장관으로 회의에 참석했던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이날 CBS 노컷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당시 2007년 11월 18일의 안보정책회의가 열리기 이틀 전인 16일 회의에서 ‘기권’ 표결하기로 정부 입장이 결정된 상태여서 북한에 물어보고 정부의 방침을 정했다는 건 사실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여기에 회고록에선 회의 도중 북한의 의견을 들어보자고 처음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진 김만복 전 국정원장까지도 회고록 내용 중 사실과 다른 부분이 많다고 지적하며 국감에 증인으로 나서서 결백을 밝히겠다는 입장이어서 이번 논란은 점차 진실공방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새누리당은 ‘송민순 회고록’ 논란과 관련해 24일 열리는 경찰청, 기무사 국감에 김 전 국정원장을 증인으로 부르는 것은 물론 대통령기록물 열람, 고소·고발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해 진상규명에 나서겠다고 벼르고 있어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