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 유출자 수사력 집중

검찰은 ‘올리타’(성분명 올무티닙) 기술수출 계약 파기의 미공개 정보이용 의혹으로 금융위원회 자본시장조사단으로부터 사건을 넘겨받고 나서 17일 오전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이와관련 한미약품은 내부 입장을 발표하면서 "회사 차원의 의도적 내부 정보 유출이나 공시 지연 등은 없었다"고 그동안의 의혹을 부인했다.
덧붙여 "국민과 주주들에게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며 "압수수색을 비롯한 모든 검찰 수사 협조와 더불어 일부 오해가 있는 부분은 수사 과정에서 명확히 해명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한미약품이 입장 발표를 통해 의혹 부인에 나서고 있지만 금융당국과 검찰은 그렇게 보지 않고 있다. 사건의 발단은 지난달 30일 악재성 공시가 나기 전 5만주 이상이 공매도 된 사실이 확인되면서다.
금융위 자본시장조사단은 기관투자자들이 한미약품의 악재 공시 정보를 사전에 입수하고 공매도에 나섰는지 한미약품 관계자들의 휴대전화 분석하고 관련 사안이 중하다고 판단해 패스트트랙을 적용 13일 검찰에 사건을 넘겼다. 검찰은 사건을 넘겨받고 4일 만에 전격 압수수색했다.
한미약품은 독일 제약업체 베링거잉겔하임과 계약한 8500억원 규모 기술 수출 계약이 파기되자 이 사실을 지난달 30일 오전 9시28분에 공시했다. 그러나 이미 하루 전 29일 오후 6시53분에 계약 파기 정보가 카카오톡으로 유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한미약품이 계약파기 내용을 이메일로 받은 지난달 29일 오후 7시6분보다도 이전 유출 정보가 사전에 새 나가면서 미공개 정보이용 의혹이 불거졌다.
미공개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선 계약파기 내용을 이메일로 받기 이전에 알 수 없는 내용이다. 때문에 검찰은 계약 파기 이전 이 같은 정보를 외부로 유출한 자가 누구인지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한미약품에 파견된 수사 인력만 50명으로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계약 공시 관련 서류 등을 분석할 계획이다.
검찰 압수수색에 대한 한미약품은 일단 차분한 분위기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담당자들이 자리를 비운 상황이라 검찰 압수수색에 대해 아직 말한 단계는 아니다”고 말을 아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