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하야나 탄핵에 대해서는 국민의당과 정의당만 강력 촉구

이재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국민들은 사과할 줄 알았던 대통령에게 오히려 훈계를 들었다”면서 “‘외롭게 살았다’ ‘이럴려고 대통령을 했는지 자괴감이 든다’ ‘자세한 내용은 검찰수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하지 않겠다’고 하는 것은 대국민담화가 아니다. 대국민훈화에 불과하다”고 실망과 우려를 표했다.
이 대변인은 이날 추미애 대표가 말한 “별도의 개별특별법을 통한 특검도입과 함께 국정조사를 수용할 것과 국무총리 후보 지명철회 후 국회가 추천하는 총리를 받아들일 것을 새누리당과 청와대에 마지막으로 제안”한다면서 “대통령 심기보좌에만 열중하며 청와대와 함께 국정운영을 농단한 새누리당은 더 이상 청와대 눈치를 보지 말고 적극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이에 덧붙여 “청와대가 내년도 인건비를 공무원 인건비 인상분 3.5%보다 3.3%가 높은 6.8%를 인상해 달라고 한다”면서 “후안무치하고 뻔뻔한 일로 최순실, 문고리 3인방, 십상시 등의 수족이 된 청와대 공무원들의 인건비 인상은 절대 용인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검찰수사 수용은 늦었지만 긍정적으로 평가한다”면서도 “자신은 국가경제와 국민의 삶을 위한 일이었다며 마치 최순실, 안종범이 자신과 무관하게 위법행위를 저지른 것인 양 울먹이는 모습은 오직 꼬리자르기로 비칠 뿐”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손 대변인은 “대통령은 특검이든 검찰수사든 성역 없는 수사에 적극 참여하여야 하고 총리 등 내각인선을 철회하고, 탈당과 함께 여야 지도부와 처음부터 다시 논의하여야 한다”면서 “최소한의 책임마저 회피하고 자리보전과 꼬리자르기에 연연한다면, 차원에서 하야, 탄핵의 길에 나설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한창민 정의당 대변인은 “대통령은 `불찰로 송구하지만 대통령은 계속 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여전히 무엇이 문제인지 전혀 모르는 자기중심적이고 권력중심적인 모습”이라며 “개인사에 대한 ‘동정적 호소’는 안타까웠으나 대통령의 자격 없음을 다시금 확인하는 자리였다”고 평가했다.
한 대변인은 또 “대통령은 끝까지 책임은 회피하고 피해자 인양 국민을 기만했다”면서 “더 이상 국민들을 부끄럽게 하지 말고 어울리지 않는 자리에서 내려오길 바란다”고 사퇴를 촉구했다.
야3당은 대통령 담화에 대한 실망과 분노로 강하게 비판했지만, 하야나 탄핵에 대해서는 민주당을 제하고 국민의당과 정의당만이 목소리를 높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