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 횟수 소득공제…'매혈(賣血)'논란 우려
헌혈 횟수 소득공제…'매혈(賣血)'논란 우려
  • 김윤재
  • 승인 2006.09.14 17: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헌혈 소득공제 가능대상도 제한적, '형평성' 저해소지
'매혈(賣血)논란'을 불러 일으켰던 '헌혈횟수에 따른 소득공제제도'는 여러 측면에서 별다른 실익과 타당성이 희박한 제도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오히려 봉사정신에서 비롯되는 순수한 의미를 퇴색시키고 매혈행위로만 매도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김호성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입법전문위원은 13일 한나라당 김정권 의원이 헌혈횟수에 따른 소득공제제도 도입을 골자로 최근 발의한 소득세법 개정안에 대한 검토보고서를 통해 이 같은 의견을 내놨다. 김 의원이 발의한 소득세법 개정안은 일반인이 헌혈에 참여한 횟수를 토대로 산정가액을 계산해 100%소득공제를 한다는 내용이다. 구체적으로 헌혈횟수에 산정가액(4만4520원)과 공제율(0.08)을 곱해 소득공제금액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김 전문위원은 "헌혈인구 확충을 위한 정책방안으로 타당성은 있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헌혈은 자발적 봉사정신에서 비롯된 것으로 금전적 인센티브로 이를 유도한다는 것은 봉사정신의 의미퇴색은 물론이고 '매혈'로 매도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 전문위원은 또 "헌혈의 경우 나이, 체격조건, 기타 질병 등에 의해 제한이 되어 있고 소득공제가 가능한 대상도 주로 30, 40대 직장인에 한정될 수 밖에 없어 조세형평성을 저해할 우려도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실효성'에도 의문점을 제기했다. 김 전문위원은 "근로소득 등 면세자 비율이 50%에 달하고 있다는 점, 개정안 산정방식을 통한 소득공제금액이 연간 최대 2만원에 불과하다는 점에서 조세감면 실효성도 미약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입법안에서 제시된 산정방식을 토대로 계산할 경우 연간 최대소득공제금액은 2만1370원(6회 헌헐(전 채혈이후 2개월 후 헌혈가능)×4만4520원×0.08)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전문위원은 소득공제와 같은 금전적 인센티브보다는 현재 실시되고 있는 주택청약, 주택관련대출 등 헌혈자에 대한 적정 인센티브 제공 등 보조적 지원방식 활용 등을 통한 헌혈인구 확충을 도모하는 방안이 보다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