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구조조정 원칙 하나도 충족 못시켜” vs 노조 “모두 아는 사실을 왜곡”

정부 측은 이를 부인하고 있지만,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더욱 확산됨에 따라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도 이에 대한 질문이 이어졌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진해운 법정관리 결정 과정에서 최순실 씨의 영향력이 있었다는 합리적인 의심이 있다"고 지적했다.
김관영 국민의당 의원도 "대우조선해양 사례와 달리 한진해운 부실기업 처리 과정에서 정부가 초지일관 강경한 입장을 제시했다"면서 한진해운 사태가 터지자 정부가 조양호 회장을 노골적으로 때린 점을 지적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현대상선보다 한진해운을 살리는 게 유리하다'는 내용의 해양수산개발원 보고서를 인용한 뒤, "정부가 정반대의 결정을 내린 데에는 최 씨가 개입한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법정관리로 들어가기 전 한진해운은 현대상선보다 규모가 더 큰 회사였다.
이같은 의혹 제기에 임종룡 금융위원장(경제부총리 내정자)은 “한진해운은 구조조정 원칙에 따라 결정한 것”이라며 의혹을 거듭 부인했다.
그러면서 "현대상선은 스스로 자금조달 등 성공했고 한진해운은 우리가 제시한 원칙을 하나도 충족시키지 못했다"며 "그래서 원칙대로 처리하게 된 것이지 그 외 어떤 요소도 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한진해운은 구조조정 원칙을 하나도 지키지 못했다’는 임 위원장의 주장에 한진해운 육원노조 측은 “모두가 아는 사실을 임 위원장이 왜곡 시키고 있다”며 "한진해운은 구조조정 원칙 중 유동성(운영자금)만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얼라이언스의 경우 가입한 상태였으며 용선료 협상도 마무리 단계였다”고 설명했다. 용선료 협상을 매듭짓지 못한 것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의 신규자금 지원 불가 통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오히려 현대상선은 아직 얼라이언스 가입이 안됐는데 금융위와 산업은행에서 묵인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