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탄핵, 대통령의 법률·헌법 위반 사실 나올 때까지 기다려봐야”

유 의원은 이날 서울이코노미스트클럽 경영자 조찬회의 직후 기자들로부터 박 대통령이 전날 엘시티 비리 수사를 지시한 건 ‘최순실 게이트’를 물타기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질문을 받자 “그 문제와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에 대해 진상조사를 철저히 하고 책임있는 사람의 책임을 묻는 건 별개의 일”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비리가 있었다면 철저히 수사하는 건 상식”이라며 “비리는 그거대로 철저히 수사하되 최순실 사태는 국민들께서 납득할 수 있는 수준으로 철저한 진상조사와 수사가 필요하고 책임자 처벌이 필요하다”고 부연했다.
또 유 의원은 대통령 스스로 자신에 대한 검찰 수사보다 엘시티 수사에 집중하고 있는 데 대한 비판이 있다는 데엔 “당초 대통령 약속과 다른 말을 하는 건 국민들께서 더 분노하지 않겠느냐”며 “지금 (최순실 씨) 공소장 만기 때문에 당혹스런 입장 같은데, 검찰이 18일까지 (대통령 조사가) 가능하다고 들었는데 이 기간까지 대통령 대면 수사가 옳다”고 밝혔다.
앞서 검찰 역시 조사 연기를 원하는 박 대통령을 향해 “마지노선까지 넘어 양보하면 금요일까지 가능하다”고 밝힌 바 있어 유 의원의 발언은 이를 감안한 것으로 보이는데, 청와대 측은 어떻게든 이보다도 이후 시점으로 미룰 뜻을 내비치고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유 의원은 당내 김무성 전 대표 등 비박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탄핵 주장에 대해선 “대통령과의 법률, 헌법 위반이 나올 때까지 기다리자”며 “검찰 수사든, 특검, 국조든 여기에서 대통령이 헌법과 법률을 위배했다는 대통령 범죄 사실이 있어야 탄핵할 수 있다”고 신중을 기했다.
한편 그는 현재 자신이 참여 중인 비상시국위원회에 대해선 “당이 대처를 잘못하는 부분, 빨리 퇴진을 안 하고 버티고 있는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그런 목소리를 내기 위해 만든 것”이라며 “당 지도부 문제나 이런 게 해결되면 비상시국위는 소임을 다했다고 본다”고 구성 취지를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