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국정 안정에는 관심 없는 것 같아”

비박계인 권 의원은 이날 오전 YTN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과의 인터뷰에서 현 친박 지도부를 겨냥 “지도부가 책임진다는 건 정치적 책임이기 때문에 사퇴밖에 없는데 그거에 대한 인식이 없는지 안이한 건지 국민들의 목소리를 귀담아 듣지 않는 건지 이해할 수 없다”면서도 이같이 말했다.
그럼에도 그는 “최순실 사태가 촉발된 것의 제일 큰 원인은 대통령에게 있고 두 번째는 이렇게 놀아난 정부, 세 번째는 우리 새누리당에 있다”며 “새누리당 지도부가 이걸 제대로 적발하기는커녕 막지도 못했고 오히려 비호까지 했는데, 우리 당도 책임지는 사람이 있어야 하지 않겠느냐”면서 거듭 즉각적인 지도부 사퇴를 촉구했다.
권 의원은 야당을 겨냥해서도 “야당도 처음에는 거국내각을 수립하면 국정 안정을 위해 협조하겠다, 다 그렇게 말하셨는데 또 다른 조건 제시하고 이제는 (대통령) 퇴진하라고 나오지 않나”라며 “야당도 국정 안정에는 관심이 없는 것 같고 이 사태를 어떻게 자기들에게 유리하게 끌고 갈 것인가 그 부분에 좀 더 집중하는 것이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또 그는 박 대통령에 대해선 “물러나실 생각은 없어 보이고 이제는 조금씩 국정 정상화를 해야 되겠다는 의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국정 정상화가) 가능하다고 보는 국민들이 있겠나.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거국내각을 수립해 총리 중심으로 국정운영이 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박 대통령에 대한 검찰 조사에 대해서도 권 의원은 “검찰에서 부르는 첫 번째 소환한 시간에 가서 조사를 받는 게 오히려 대통령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대통령께서 일반검찰이든 특검이든 부르면 부르는 대로 나가서 조사받겠다고 입장 표명을 이미 하신 상황이기 때문에 필요하면 두 번이 아니라 세 번도 나가셔야 하지 않겠나”라고 밝혔다.
한편 국회 법사위원장이기도 한 그는 전날 ‘최순실 특검법’을 결국 자신이 법사위에서 직권 상정해 통과시켰음에도 본회의 표결에선 기권했던 이유에 대해선 “제일 중요한 게 정치적 중립성, 수사의 독립성, 공정성인데 야당 추천의 특별검사가 임명되면 그 특별검사 또한 정치검찰이란 비난을 받을 소지가 있다”며 “기본적으로 특검 도입은 찬성하고 있지만 특검 추천 절차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전 기권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래서 야당이 추천하지 말고, 대한변협이나 대법원장 등 중립적인 기관에서 추천하는 것이 수사의 공정성과 정치적 중립성을 위해서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