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폐업 460개, 전출 215개사
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이 경제자유구역 조성 및 도시재생사업 등 지역 건설경기의 호황에도 불구하고 서울 등지의 대형 건설업체에 밀려 '풍요속의 빈곤'으로 고전, 침체의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18일 대한건설협회 인천시회에 따르면 인천지역의 일반(종합)건설업체는 지난 7월 말 현재 총 480곳이나 각종 대규모 공사에 참여하는 업체는 겨우 40∼50개사에 그치고 나머지 대부분의 업체는 수주실적이 거의 없어 폐업과 등록취소, 타지역으로의 전출이 속출하고 있다.
실제로 인천지역에서 발주한 건설공사액은 지난 2003년의 1조5천529억원에서 2004년엔 2조3천331억원, 그리고 작년엔 4조1천874억원으로 매년 크게 늘고 있다.
발주액의 증가는 인천시 산하 각 군.구와 사업소 등의 건설공사가 늘고 인천대교 건설 등 경제자유구역 조성과 관련한 정부투자기관의 각종 공사가 크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의 수주율은 지난 2004년 총 발주액의 42.2%(9천843억원)에서 지난해엔 22.9%(9천566억원)로 오히려 크게 떨어졌으며 올 들어서도 실정은 비슷하다.
지난해 공사를 수주한 인천지역 원청업체의 경우 70억원 이하의 지역제한 경쟁입찰 대상공사는 전체 발주액(2천534억원)의 83%를 수주한 반면 국제입찰 규모의 공사는 총 발주액(3조8천265억원)의 14%, 정부투자발주액은 11%를 각각 따내는데 그쳤다.
하도급 업체도 국내 입찰 대상 공사의 28%, 국제입찰 공사는 16%를 각각 수주하는데 불과했다.
이는 인천지역에서 발주한 각종 대형 공사의 상당 부분을 서울 등지의 대형 건설사들이 싹쓸이하다시피하고 있는 데다 지역 발주처 조차 대형 건설업체를 선호, 지역업체를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일반과 2천46개사인 전문건설사를 포함해 2천942개업체에 달한 인천의 건설업체는 작년 한햇동안 공사를 따지 못해 폐업(460곳), 등록취소(134곳), 전출(215곳) 등을 선택, 전체의 27%인 8백9개사가 문을 닫거나 타지역으로 사업장을 옮겼다.
또 대한건설협회 인천시회 회원사인 일반건설업체 311곳(부천지역 포함)은 건설공제회로부터 융자한도액의 평균 87.7%까지 대출을 받아 가며 적자경영을 하고 있다.
황규철 인천시회 회장은 "제도상 대기업 위주로 발주를 추진하다보니 인천지역 업체들 끼리도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지자체 발주공사는 지역업체에 일정 부분 할당되지만 정부투자기관 등이 기술력 등을 이유로 대형 업체를 선호하는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인천시가 30%의 지분을 출자한 인천종합에너지㈜는 인천 송도국제도시내 열병합발전소 공사를 하면서 인천지역 업체를 배제하고 타 지역의 대형 건설업체에 공사 발주를 추진하고 있다.
동양제철화학㈜ 역시 수 백만t의 폐기물 처리를 대행할 시공사를 선정하면서 인천업체와의 공동도급을 배제한 채 다른 지역의 7개 대형 건설업체를 지명해 입찰을 해 인천지역 건설업계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인천전문건설협회 관계자는 "인천지역 경제 활성화는 말 뿐"이라며 "경영 및 시공능력, 기술력면에서 타 지역 업체에 절대 뒤지지 않는 인천 업체의 보호육성을 위해 생색내기에만 그치는 공사 수주 참여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