盧-朴‘탄핵가결’ 이후-재계·노동계 움직임…
盧-朴‘탄핵가결’ 이후-재계·노동계 움직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계 비상경영 체제 돌입 노동계 정반대 모습 보여
▲ 2004년 노 대통령(사진,좌) 탄핵과 2016년 박 대통령(사진,우) 탄핵 이후 재계와 노동계 움직임을 보면 재계는 비상경영 체제로 돌입해 비슷한 체제를 유지했지만 노동계는 상반된 움직임으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사진/시사포커스DB
[시사포커스/김용철 기자] 2016년 12월9일 헌정사상 두번째로 국회에서 대통령 탄핵이 가결됐다. 2004년 당시 노무현 대통령 탄핵 가결 이후 12년만으로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가결되면서 재계와 노동계의 움직임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004년 노 대통령 탄핵과 2016년 박 대통령 탄핵 이후 재계와 노동계 움직임을 보면 재계는 비상경영 체제로 돌입해 비슷한 체제를 유지했지만 노동계는 상반된 움직임으로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2004년과 2016년 탄핵 이후 재계는 향후 경제에 끼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비상경영’체제로 돌입했다. 노 대통령 탄핵 가결 이후 재계는 주말에도 사업계획과 수출전선에 대한 점검을 이어간 한편, 경제5단체장들은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과의 간담회를 갖으며 불안 요인 확산 차단에 주력한 바 있다.

재계는 당시에도 정부의 일관된 경제 정책을 추진해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바 있다. 당시에는 총선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시점이라 재계는 지속적인 정국 불안이 이어질 것으로 보여 주말에도 임직원들이 출근해 해외 현지법인과 대화 채널을 가동하고 브랜드 신용도 및 신뢰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분석하는 등 사태추이를 예의주시했었다.

박 대통령이 탄핵 가결 이후에도 재계는 경제정책 변화와 대외신인도 하락 등을 우려하며 사태추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재계는 비상회의를 열고 대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특히 9대그룹 총수가 ‘최순실 게이트’ 국정조사 청문회에 증언대에 선 이후 파장이 경제계를 흔들고 있어 투자에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과 연관된 총수들은 특검 조사도 배제할 수 없어 해당 그룹들은 연말 사장단 및 정기임원 인사 및 내년도 사업계획 차질이 현실화 되고 있다.

삼성은 내년 2월 중순 이후에나 인사개편이 이뤄질 전망이며, 특검조사에 대한 대응 마련에 나서는 중이다. 그 외 그룹들도 인사 일정이 늦춰져 사업 차질이 계속되고 있다. 10대 그룹 중 LG·한화·현대중공업·GS등 4개 그룹을 제외하곤 연말 인사는 ‘안갯속’이다.

이외에도 경제의 컨트롤타워인 경제부총리 내정자 선임문제도 해결되지 않아 경제정책 방향도 불투명하다. 10일 열린 ‘경제장관-경제단체 간담회’는 국내 경제 위기를 진단하고 협조를 위해 머리를 맞댄 자리로 경제5단체장은 2004년 당시와 마찬가지로 경제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해 달라며 정부의 일관성 있는 정책 추진을 요청한 바 있다. 하지만 탄핵 이후 사흘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경제 컨트롤타워를 누구로 세울지조차 정리되지 않아 교통정리를 신속히 해 경제정책 방향을 조속히 수립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노동계는 당시 노 대통령 탄핵 가결 이후 민주노총은 탄핵가결 항의로 매주 수요일 잔업거부와 매일 저녁 촛불집회, 전 조합원 리본달기, 단위노조 현수막 달기 등 투쟁을 이어간 바 있다. 반면 박 대통령 탄핵정국에 노동계는 좌고우면 말고 대통령 탄핵 절차에 돌입 촉구를 이어가는 동시에 탄핵가결 이후 헌법재판소를 향해 즉시 대통령을 파면하라고 촉구에 나서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노 대통령 탄핵 당시와 정반대의 모습을 이어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