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수 “세월호에 ‘제주기지’ 철근 적재, 말이 안 돼”
김장수 “세월호에 ‘제주기지’ 철근 적재, 말이 안 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78톤 철근 갖고 해군기지 공사 차질? 이해 안 간다”
▲ [시사포커스 / 고경수 기자] 김장수 전 국가안보실장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특별위원회'에 제3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김장수 전 청와대 안보실장이 14일 세월호에 제주해군기지 건설용 철근이 초과 적재됐었다는 의혹과 관련 “여객선에 철근을 싣는다는 건 말이 안 된다”는 반응을 내놨다.
 
김 전 실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진상규명’ 국정특위 3차 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최교일 새누리당 의원으로부터 이 같은 의혹에 대한 질문을 받자 “언론보도를 통해 들은 기억이 있다”면서도 이같이 답했다.
 
그는 해당 의혹과 관련 “당시에 제주 해군기지가 거의 완성단계였다”면서 “(세월호에 실렸다는) 278톤의 철근 가지고 공사에 차질이 있다는 것은 이해가 안 간다”고 일침을 가했다.
 
다만 김 전 실장은 세월호가 초과 적재 운용됐다는 사실에 대해선 “청해진 해운에서 이걸 불법 개조해서 많이 실을 수 있도록 했다는 건 들었다”며 “만약 278톤 철근을 여객선에 싣고 간다면 처음부터 잘못된 것이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세월호 참사 당시 해군의 최신 수상구조함인 통영함이 출동하지 않은 것과 관련해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이 “못 가게 막은 게 대통령 지시였느냐”고 추궁하자 “그런 지시는 일절 없었다. 대통령에 보고할 감도 아니다”라며 “해군 참모총장이 알아서 출동시키면 되는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에 하 의원이 “해군 참모총장이 ‘구조에 참가한다’고 출동 합의각서까지 썼는데 누가 막았느냐. 그러 누가 가지 말라고 지시했나”라고 거듭 질의하자 “그건 확인하지 못했다. 안보실장이 통영함 가라마라까지는..”이라고 답변했다.
 
하지만 이 같은 김 전 실장의 태도에 윤소하 정의당 의원이 나서서 “당시 컨트롤타워의 한 축인 김 전 실장이 그런 표현을 국민들이 보고 있는데 하고 있나”라며 무책임하다고 지적하자 김 전 실장은 “제 표현에 과한 부분이 있다면 정중히 사과드리겠다”라고 자세를 낮췄다.
 
한편 김 전 실장은 앞서 오전 청문회에선 세월호 참사 당시 대통령에게 구조 활동에 대해 보고한 것과 관련, 사고 당일 오후 2시 이후부터는 자신은 보고하지 않고 중대본·해경·청와대 정무수석실에서 대통령에게 보고했다고 했다가 즉각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사고 당일 안보실장은 손뗐다고 해놓고, 그 다음날 수차례 해경 상황실장과 통화한 사람이 바로 안보실 상황반장”이라며 “위증하고 있는 것 아니냐”라고 몰아세워 궁지에 몰리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