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대철의 분노 “박사모 따위가 부를 노래 아니다”, 31일 촛불집회서 연주

신대철씨는 17일 오후 페이스북을 통해 “TV 보다가 너무 기가 찬 광경을 봤다. 안국역 앞에서 친박 단체들 집회 하고 있는데 이 자들이 '아름다운 강산' 을 부르고 있었다. 참으로 어이가 없다.”고 질타하며 말문을 열었다.
그는 부친인 신중현씨가 아름다운 강산이라는 노래를 만들게 된 배경을 소개했다. 그는 “어느날 청와대라고 하면서 전화가 왔었다고 한다. 아버지의 증언에 의하면 청와대가 ‘각하(박정희)의 노래를 만들라’ 라는 내용의 강권을 행했다 한다. 그러나 아버지는 그런 노래는 만들 수 없다며 거절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당시 여당이었던 공화당 측으로부터 협박을 받았음도 전했다.
신 씨에 따르면, 이후 신중현씨의 대표곡이자 국민가요가 됐던 ‘미인’을 비롯해 신씨의 노래가 줄줄이 금지곡이 된다. 또한 가수 김추자가 불렀던 ‘거짓말’ 등 수십 곡도 금지 된다. 그러자 신중현씨는 1974년 ‘아름다운 강산’을 만든다. 이 노래는 대한민국의 산하를 예찬하는 노래다.
신대철씨는 “이 곡은 권력자를 찬양하는 노래는 만들 수 없지만 아름다운 우리 대한민국을 찬양하는 노래는 만들 수 있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설명하며 “서슬 퍼런 독재 권력자 박정희의 강권을 거부하고 우리나라를 하나로 아우르는 노래를 만들었지만 이 곡 역시 금지곡이 되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신 씨는 “아름다운 강산의 가사를 잘 살펴보면 교묘한 메시지가 숨어있다”며 후반부 가사의 핵심을 소개하기도 했다.
그는 “‘오늘도 너를 만나러 가야지 말해야지 먼 훗날에 너와 나 살고 지고 영원한 이곳에 우리의 새꿈을 만들어 보고파’(라는 내용이) 다른 의견은 철저히 배격되었던 시대의 외침으로, 어쩌면 아고라 민주주의의 실현을 꿈꾼 것일까”라고 반문하며 “그래서 이 노래는 유신내내 금지곡이 됐다”고 강조했다.
그는 끝으로 “그러므로 박사모, 어버이(연합) 따위가 불러서는 안 된다”며 “촛불집회 집행부는 나를 섭외하라. 내가 제대로 된 버전으로 연주 하겠다”고 밝혔다.
신대철 씨는 오는 31일 토요일 있을 ‘박근혜 퇴진-구속’ 등을 촉구하는 광화문 촛불집회에서 '아름다운 강산'을 연주할 예정이다, 그는 19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안 그래도 촛불집회 집행부 쪽에서 연락이 와가지고 그 말씀을 하시더라. 그래서 전 좋다고 했다”면서 연주할 예정임을 알렸다.
한편 ‘아름다운 강산’이 만들어진 배경을 모르고 불렀던 박사모 측은 해당 노래를 부르지 않겠다고 밝혔다.
정광용 박사모 중앙회장은 20일 <뉴시스>에 "'아름다운 강산' 작곡가 가족이 우리더러 이 노래를 부르지 말라고 했다는 소식을 전해 들었다"며 "치사해서 안 부른다. 다신 안 부르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