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이 30년 좌우 전담 혁신조직 마련 특명

25일 롯데계열사 관계자에 따르면 신동빈 회장은 최근 그룹 정책본부 임원 회의에서 인공지능, 가상현실(VR), 사물인터넷(IoT) 등으로 상징되는 4차 산업혁명과 소비계층 변화에 대해 이같이 언급하며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본격적 대응에 나섰다.
이에 따라 그룹 정책본부 황각규 운영실장(사장)은 계열사 대표들을 차례대로 만나 유통, 화학, 식품, 호텔·서비스 등 계열사 4대 산업군별로 4차 산업혁명 준비를 전담할 혁신조직을 마련하라는 신 회장의 이같은 경영지침을 전달하고 4차 산업혁명 준비를 재차 강조하고 있다.
황 사장은 지난 22일 리테일(소매) 부문 계열사 CEO들과, 23일에는 제과·식품 부문 계열사 CEO들과 각각 간담회를 열었다. 조만간 다른 화학, 호텔·서비스 부문 CEO들과도 같은 취지의 비공식 간담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롯데가 최근 글로벌 IT기업 IBM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진보된 쇼핑 도우미 서비스 등의 개발에 나서고, VR 기술을 유통 현장에 속속 적용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앞서 지난 21일 황각규 사장은 한국IBM과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IBM의 클라우드 기반 인지 컴퓨팅(Cognitive Computing) 기술 '왓슨(Watson)' 솔루션을 도입했다. 롯데가 앞으로 개발할 '지능형 쇼핑 어드바이저'인 '챗봇'(Chatbot·사람과 대화하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앱이 실제 유통현장에서 시행되면 고객들은 챗봇과 대화하며 상품을 추천받고 온라인 픽업서비스 안내까지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