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진 “친박 핵심, 1월 6일까지 자진 탈당해야”
인명진 “친박 핵심, 1월 6일까지 자진 탈당해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정현·최경환 등 ‘친박 8적’ 겨냥…탈당 거부 시 비대위원장 사퇴할 듯
▲ 인명진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이 인적 청산 방법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지는 의미로 자진 탈당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 / 김민규 기자] 새누리당 비대위원장이 30일 사실상 친박 핵심 인사들을 겨냥해 “정치적 책임을 지는 의미로 자진 탈당해야 한다”며 인적 청산 작업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었다.
 
인 위원장은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인적 청산과 관련 “당 윤리위가 구성이 안 돼서 법적 책임은 물을 수 없다. 내년 1월 6일까지 시간을 드리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인적 청산 대상의 범주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지정했는데, “박근혜 정부에서 당 대표를 했던 사람, 정부 주요 직책에 있었던 사람은 대통령을 잘못 모셨다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한 데 이어 “지난 4·13총선에서 당의 분열을 조장하고 국민 눈살을 찌푸리게 한 사람도 인적 청산 대상이고 무분별한 언사로 국민들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못난 행태를 보인 사람들도 대상”이라고 밝혔다.
 
특히 인 위원장이 가장 먼저 인적 청산 대상으로 거론한 ‘박근혜 정부에서 새누리당 대표를 했던 사람’ 중 황우여 전 대표는 이미 20대 총선에서 낙선해 정계 은퇴한 데다 김무성 전 대표 또한 탈당해 신당을 창당한 점을 감안하면 결국 이정현 전 대표에 자진탈당을 촉구한 것이란 해석이 지배적이다.
 
또 다음으로 언급된 정부 주요 직책에 있었던 사람이란 표현에 대해선 친박계 좌장으로 경제부총리를 역임했던 최경환 의원을 겨냥한 것이란 풀이가 나오고 있으며 지난 총선에서 당의 분열을 조장한 사람이나 무분별한 언사를 한 인사들은 이른바 비박계에서 지목한 ‘친박 8적’을 지칭한 것이란 주장도 적지 않다.
 
하지만 친박 8적 명단에 포함되어 있는 친박계 맏형 서청원 의원의 경우 탈당에 대해선 지난 29일 이미 “그건 잘못된 얘기”라며 일축한 바 있고, 최경환 의원도 서 의원과 마찬가지로 2선 후퇴 의사만 밝혔을 뿐 탈당은 일언반구 꺼내지도 않아 탈당 압박에 나선 인 위원장과의 충돌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인 위원장은 굳이 인적 청산 대상자인 친박 핵심 인사들을 일일이 거명하지 않고 우회적으로 표현한 이유에 대해선 “무슨 애들이냐 시키는대로 하게”라며 “자기가 무슨 책임이 있는지 스스로 판단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친박 핵심 인사들이 ‘2선 후퇴’를 내세워 국면을 수습하려는 데 대해선 “2선 후퇴는 1선에 있다가 물러난다는 것”이라며 “그 분들이 서 있는 자리가 어디였는데 어디로 물러난다는 것이냐. 상식적으로 판단해 달라”고 일침을 가했다.
 
아울러 인 위원장은 인적 청산 대상자들이 끝내 탈당을 거부할 경우 1월 8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자신의 거취를 밝히겠다고 이날 분명히 못 박아 자신의 사퇴 가능성까지 열어놓는 배수진을 쳤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출당, 탈당요구, 징계만 있는 게 아니라 더 무서운 것이 있는데 그게 당원권 정지”라며 자신이 제시한 일자까지 자진 탈당을 표명하지 않으면 당원권 정지까지 추진할 것임을 시사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