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책임지는 지도자 모습”…野 “친박 정치연명용 기획·탈당쇼”

먼저 새누리당에선 이날 오전 김명연 수석대변인이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이 전 대표의 탈당 결정과 관련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도 “국민 앞에 과거의 잘못을 책임지고, 쇄신하려고 하는 당을 위해 살신성인하며 국민들께 책임지려는 지도자의 모습”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김 대변인은 또 다른 새누리당 전 대표이면서도 비박계 의원들과 함께 집단 탈당해 가칭 개혁보수신당에 있는 김무성 전 대표까지 겨냥해 “다른 전직 당 대표는 어떻게 국민 앞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줄지 국민과 함께 우리 당도 지켜보겠다”며 이 전 대표의 탈당을 비박 신당에 대한 압박 수단으로 삼으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반면 야권은 새누리당과는 극명히 다른 반응을 보였는데, 같은 날 오전 국민의당에선 양순필 부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이 전 대표는 마치 자신의 탈당이 정치적 책임을 지는 엄청난 결단이라도 되는 것처럼 착각하는 모양”이라며 “많은 국민들이 이 전 대표의 새누리당 탈당이 친박 세력의 정치적 연명을 위한 기획 탈당이라고 의심하고 있다”고 혹평했다.
그러면서 양 부대변인은 “만약 이 전 대표가 박근혜 헌정 파괴 범죄에 대해 일말의 책임 의식을 느낀다면 벌써 오래 전에 국회의원직을 사퇴하고 정계를 은퇴했어야 마땅하다”며 “이 전 대표가 모든 책임을 안고 가는 방법은 서청원·최경환·김진태 등 수많은 악행을 저질러온 새누리당 의원들과 동반해 의원직을 사퇴하고 정계를 떠나는 것”이라고 친박 핵심 인사들과의 동반 퇴진을 촉구했다.
정의당 역시 이날 추혜선 대변인의 현안브리핑에서 이 전 대표의 탈당에 대해 “자신의 과오를 탈색하기 위한 일회적 탈당쇼”라며 “이 전 대표의 탈당으로 바뀌는 건 아무 것도 없다. 아무 의미 없는 일”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추 대변인은 이 전 대표를 겨냥 “이 전 대표는 박근혜 대통령의 곁에서 정권창출과 정권유지에 사활을 걸었던 만큼 박근혜표 헌정 파탄과 국정농단의 공범으로서 마땅히 의원직을 사퇴하고 정계은퇴를 선언해야 한다”며 “조금이라도 책임지겠다는 마음이 있다면 당장 정계를 떠나 검찰에 출두해야 할 것”이라고 정계은퇴까지 요구하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정우택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이날 이 전 대표가 전격적으로 자진 탈당을 선언하게 된 배경과 관련해 “언론에 자기 이름이 대문짝만하게 나와서 자긴 더 창피해서 얼굴을 들고 다닐 수 없어서 탈당한다고 했다”며 “저나 비대위원장은 아직까지 실명을 거론한 적이 없다. 언론에서 이 양반을 정치살인 한 것”이라고 언론에 책임이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