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무윤리 강화 나서기로

‘오리온人의 약속’ 윤리강령을 살펴보면 ▲제반 법규 규정 준수 ▲명확한 공사 구분 ▲내부정보 조작 및 유출 금지 ▲이해상충 금지 ▲상호 존중 및 예절 준수 ▲임직원간 부당행위 금지 ▲협력사와의 투명한 거래 등을 포함한 7가지 약속을 제정하고 임직원이 자체적으로 관련 교육 및 캠페인을 통해 실천하고 있다는 게 오리온측의 설명이다.
오리온은 해외 법인의 윤리경영 선포식, 착한 포장 프로젝트, 익명신고채널과 자진신고제도 등 도입 및 기반 구축을 넘어 올해는 분기별로 각각 임직원, 회사, 고객, 협력사를 대상으로 매월 세부 실천 테마를 선정해 캠페인을 벌여나간다는 방침이다.
이처럼 오리온이 윤리경영 강화에 나선 것은 한동안 윤리경영과는 거리가 먼 논란이 일었기 때문이다. 담철곤 회장은 2011년 300억원의 회사돈을 횡령한 혐의로 재판을 받은 바 있다. 당시 1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받고 2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났다. 이후 담 회장에게 집행유예를 확정한 대법원은 “횡령한 돈을 갚고 윤리경영과 사회공헌 활동을 다짐했다는 점을 참작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후 고액배당금 논란 등 잡음이 일면서 윤리경영과는 거리가 멀다는 비판이 일었다. 또한 집행유예로 풀려난 이후 대표이사 재선임 결정을 두고 윤리경영의 중요성을 소홀히 한 게 아니냐는 주주들의 지적도 있었다.
이같은 윤리경영 논란이 일자 오리온은 2015년 윤리경영에 나선다. 그동안 논란으로 인해 윤리경영에 나선 것이 아니냐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 오리온 관계자는 “당시 논란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며 “기업이 지속 성장하기 위해서는 준법과 윤리에 기반한 경영 활동이 필수적이라 2015년부터 윤리경영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한 “2015년 ‘오리온人의 약속’이라는 7가지 윤리강령도 이같은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제정하고 직원들과 합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