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조사… 기업들 “소비심리 회복, 금융시장 안정화 시급” 한목소리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최근 전국 2,400여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017년 1분기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 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 분기(86) 대비 18포인트 급락한 68로 집계됐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 체감경기가 낮았던 1998년도(61~75)와 비슷한 수치다.
대한상의 BSI는 100이상이면 이번 분기보다 다음 분기에 경기가 좋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기업이 더 많다는 것을 나타내고, 100미만이면 그 반대다.
지역별 BSI는 중국인 특수를 누리던 제주마저 91로 떨어지는 가운데 대전(79), 충남(78), 경남(76), 부산(72), 전북(72), 충북(71), 대구(71), 울산(71), 경기(70), 서울(68), 전남(68), 경북(67), 광주(66), 인천(62), 강원(61) 순으로 모두 기준치(100)를 넘지 못했다.
체감경기가 악화한 이유에 대해 업체들은 대내적 요인으로 ‘정치갈등에 따른 사회혼란’(40%), ‘자금조달 어려움’(39.2%), ‘기업관련 규제’(31.6%), ‘소득양극화’(10.8%) 등을 꼽았다. 대외적 요인으로는 ‘중국 성장률 둔화’(42.4%), ‘보호무역주의 전세계 확산’(32.3%), ‘미국 금리인상에 따른 금융여건 악화’(28.4%), ‘환율변동성 확대’(24.0%) 등을 지적했다.
대한상의는 “수출과 내수 동반침체로 지난 2010년 18.5% 수준이던 제조업 매출증가율이 2015년 -3.0%까지 떨어졌다”며 “미국 금리인상, 중국의 성장 브레이크 등으로 자금난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라고 분석했다.
또한, 업체 절반가량(50.6%)이 ‘보수경영 기조’를 밝혔다. 이들 기업은 구체적으로 ‘현 상태 사업유지’(65.1%), ‘기존사업 구조조정’(17.5%), ‘대외리스크 관리’(17.4%)를 꼽았다.
취업도 더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보다 채용을 늘릴 계획이라고 응답한 업체는 27.7%에 불과했다. 49.6%는 “지난해와 비슷하게 유지하거나 줄이겠다”고 밝혔으며, 22.7%는 “채용계획을 세우지 못했다”고 전했다.
기업들은 올해 시급한 정책 과제로 ‘소비심리 회복’(55.7%)을 손꼽았다. 이어 ‘금융시장 안정화’(41.6%), ‘정치갈등 해소’(36.3%), ‘규제 개선’(33.0%)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