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합의, 할머니들 위로하고 상처치유했다” 강변도

윤 장관은 13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출석해 "일본 측으로서는 자기네 외교 공관 앞에 또 하나의 소녀상이 설치됨으로 인해 여러 이유 때문에 상당히 반발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윤 장관은 그러면서 "오해가 있는데, 정부는 소녀상 설치를 반대하는 게 아니다"라면서 "장소문제에 대해선 우리가 보다 지혜를 모을 필요가 있다"며 소녀상 이전을 압박했다.
그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의사를 묵살한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도 “우리가 원하는 해결방안에 가장 근접한 결과”라고 자화자찬한 뒤, "주어진 제약 하에서 할머니들이 돌아가시기 전에 어느 정도 위로해 드리고 상처를 치유한 것은 굉장한 성과"라고 강변했다.
그는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에 대해선 “협상 과정에서 출연금이 당연히 필요하다는 것이 우리 입장이었다. 돈이 나와야만 정부가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한 것이 된다”며 자신이 10억엔을 요구했다고 밝혔다.
그는 업무보고에서도 "‘위안부’ 합의가 파기되면 한일 양자관계와 대외신인도 등 국익에 심각한 영향이 온다.“고 강변하며 ”합의 정신을 존중하면서 착실히 이행하겠다“고 밝혀, 재협상할 생각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한편, 서울겨레하나와 대학생겨레하나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병세 장관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무시하고 한일 ‘위안부’ 합의를 자행한지 1년이 넘었다"면서 "현재는 일본 정부에 맞장구치며 부산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을 철거하라고 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윤 장관의 즉각 사퇴를 촉구했다.
이들은 윤 장관을 향해 일본을 위한 ‘왜교부’ 장관이라며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