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시험의 폐해, 농협중앙회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
“승진시험의 폐해, 농협중앙회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협동조합노조, '농협중앙회장이 농협인 직접 만나야'
▲ 승진시험을 비롯 농협중앙회와 지역농협간 구조적인 폐해가 지적되고 있다.ⓒ 뉴시스
[시사포커스/강기성 기자] 농협중앙회가 주관한 농협 4급 승진시험에 이의신청이 끊이지 않으면서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경섭 농협은행장은 해당 시험을 없애겠다고 공약한 바가 있다.
 
아울러 현 농협중앙회장이 직접 농협인을 만나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8일 서울에 위치한 한 농협승진시험 학원 게시판에는 지난 1월 8일 치러졌던 농협 4급 승진시험 이의신청사항들이 올라와 있다. 지난해를 제외하고 매년 이의신청은 반복됐다. 올해는 난이도가 유난히 높아 30%에 달했던 합격률이 10% 이내로 떨어졌고, 농업중앙회는 지난 11일 조소행 회원종합지원부장 명의로 사과문을 개재했다.
 
전국협동조합노조는 보도자료를 통해 “현장업무로 눈‧코 뜰새 없이 바쁜 가운데에서도 길게는 십년이 넘게 준비해 온 수많은 지역 농‧축협 노동자들이 전국 각지에서 시험을 봤다”며 “농협중앙회와 지역 농‧축협과 합격 기준의 형평성에 문제가 있고, 매년 농업중앙회 출제 오류와 난이도조차 제대로 검토하지 않아 협동조합원들이 고충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각 지역 농협에서는 본래 농업소득과 관련한 사업들은 소홀히 하고 업무시간에 고시준비를 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며 “시험이 아닌 농업인을 위한 경제사업실적과 능력으로 평가받는 구조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 2017년 농협 4급 승진시험 이의신청 심사결과표

금융권 중 유일하게 남은 농협중앙회와 지역 농‧축협, 농협 보험계열사에서 이뤄지는 승진시험은 이른바 ‘승진고시’라 불리며 3~5년 차(5급) 직원들이 과장(4급)으로 승진할 때 보는 시험이다. 합격하면 1~3년 내 승진기회가 주어진다. 이를 준비하기 위해 고시원과 전문 학원도 인근에 번져있다. 농협엔 직원들끼리 ‘만년대리’라는 말이 오가고 있다.
 
은행들의 성과주의가 보편화되면서, 이전부터 농협에도 승진시험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이 따라야한다는 것이 개선점으로 지목돼 왔다.
 
농협중앙회가 만든 지역농협의 기형적 구조
 
한편, 협동조합노조 측은 다른 방향으로 승진시험제도의 폐해를 해석했다.
 
조합 관계자는 “각 지역 농협들은 본 기능인 농업인 경제사업에는 신경을 못 쓰고 있다” 며 “무엇보다 경영평가제도로 각 농협중앙회가 지역 농협을 관리하고 있고, 직원들은 수수료 정도를 챙기려 보험과 카드 등을 판매에만 신경을 쓰고 있어 농협중앙회의 지역 영업소로 전락한 꼴이다”라고 주장했다.
 
한 지역 농협 간부는 “농협법이 개정되는 과정에서 농협중앙회의 신경분리(신용사업과 경제사업 분리)에 따라 농협은 준조합인들을 상대로 경제사업보다 신용영업에 매달리게 됐다”며 “농협이 2금융권으로 마치 1금융권인 농협중앙회의 지점 같은 기형적 구조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지어 농협중앙회가 각 지역농협에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사례도 과거 국감장에서 속속 나왔었다.
 
농협중앙회에서 파업 중이던 지역 농협 노조를 억압하기 위해 대체인력을 투입한 정황이 한 매체에서 보도됐고, 이에 농협 비정규직 문제를 다루던 정의당 이정미 의원은 "농협중앙회와 해당 단위농협은 원청, 하청과 유사한 관계라고 할 수 있다"고 사건에 대해 덧붙였다.
 
전국협동조합노조 관계자는 “이번 농협의 승진시험에 대한 비판은 단일 사례로 끝나는 것이 아닌 구성원에 대한 불공정한 개입, 중앙회 임원 비리, 비정규직 문제 등 축적된 구시대 폐단들에서 비롯된다”며 “농협중앙회장이 직접 현안을 검토하고 농협인들을 만나야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