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관에 갇힌 돌고래, 사람으로 치면…”
“수족관에 갇힌 돌고래, 사람으로 치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학대’ 논란에도 수입된 돌고래 5일만에 ‘폐사’…울산 남구청 향한 ‘규탄’ 목소리
▲ 돌고래 수입을 반대해왔던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14일 기자회견에서 수입을 강행한 울산 남구청을 질타했다. 사진 / 고승은 기자
[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 울산 남구청이 일본에서 수입한 돌고래 2마리 중 1마리가 지난 13일 저녁 폐사했다.
 
울산 남구청은 14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9일 일본 와카야마현 다이지에서 수입한 암컷 큰돌고래 2마리(4~5살) 가운데 1마리가 13일 저녁 9시경 폐사했다고 밝혔다. 남구청은 지난 9일 2억원(운송료 포함)을 들여 두 마리를 울산 장생포 고래생태체험관에 들여온 바 있다.
 
환경단체들은 동물학대가 우려된다며, 돌고래 수입을 반대한 바 있으나 남구청 측은 수입을 강행했다.
 
한편, 이번 돌고래의 폐사로 고래생태체험관에서 죽은 돌고래의 숫자가 6마리로 늘어났다. 2012년 암컷 돌고래 2마리가 폐사한데 이어 2014년 새끼 돌고래가 태어난 지 3일만에 폐사한 바 있다. 또 2015년 6월에도 생후 6일 된 새끼 돌고래가 폐사했고, 2개월 뒤에는 수컷 돌고래가 다른 돌고래와 싸우다 상처를 입고 패혈증으로 폐사했다.
 
이와 관련, 돌고래 수입을 반대해왔던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는 14일 오후 1시 광화문광장 이순신동상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한민국 정부가, 그리고 울산남구청이 다시 돌고래 2마리의 수입을 강행해 한국 사회의 생태적 감수성을 내팽개치고 말았다”고 질타했다.
 
이들은 “돌고래가 잔인한 포획 스트레스와 장거리 이송, 비좁은 수족관 등 열악한 환경을 견디지 못한 것”이라며 “울산 남구청의 고래생태체험관 및 고래 쇼 관광프로그램은 그동안 총 10마리 중에서 6마리를 폐사시킨 돌고래들의 죽음터와 같은 곳이다. 남구청이 60%라는 높은 폐사율에 대해 어떤 변명을 해도, 어떤 식의 개선을 해도 ‘눈 가리고 아웅’하는 식”이라고 비판했다.
 
이들은 또 “울산남구청과 남구청장은 즉시 돌고래 전면 수입금지를 선언해야 한다”며 “현재 남구청의 ‘죽으면 또 구입하는’ 이런 고래관광 정책은 폐사하는 돌고래만 늘어나게 할 뿐이다. 애꿎은 고래를 죽여가면서 고래를 사랑하고 아끼자는 관광정책이 얼마나 모순적인가”라고 질타하며 “이것은 대한민국을 국제적인 비난덩어리인 일본 다이지마을의 돌고래 포획 및 학살에 대한 국제적인 공범의 대열로 밀어넣는 꼴”이라고 힐난했다.
 
◆ 돌고래의 마지막 ‘눈물’
 
바다위원회 관계자는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실제로 돌고래 수입금지된 국가들이 많다. 법으로 금지된 나라도 있고, 시민들이 (시민운동 등을 통해)퇴출한 나라들도 있다. 예를 들어 영국에는 70년대 돌고래 수족관이 36개 있었다. 그런데 93년에 퇴출됐고, 유럽연합 중에는 절반 정도가 돌고래 수족관이 없든가 법으로 공연을 금지하거나 돌고래 수입을 금지한다“고 말했다.
 
또 “인도라든지, 남미 쪽에서도 돌고래 수입이 금지되고 있고, 미국에서도 (돌고래 수입 금지)여론이 높다보니, 미국 내 가장 큰 해양테마파크인 씨월드에서도 ‘돌고래 잡지 않겠다. 단계적으로 돌고래 쇼 폐지하겠다’고 했고, 또 미국 볼티모어 국립수족관에서는 돌고래를 데리고 있었는데, 수족관에 있는 것은 생태계적으로 맞지 않다고 해서 해안 가두리에 두고 있다”며 해외 사례를 언급했다.
▲ 환경운동연합 바다위원회 관계자는 돌고래가 수족관에 갇혀있는 것에 대해 “사람이 평생 침대 위에서 사는 걸로 생각하면 된다. 돌고래는 하루에 보통 160km정도 움직인다. 그런 것들은 당연히 충족이 안 된다. 또 초음파가 금방 벽에 반사되는 문제도 있다”고 지적했다. 사진 / 고승은 기자
관계자는 “우리나라도 야생에 있는 돌고래를 잡지 못하도록 정부에서 고시를 개정했지만, 일본에서 포획된 것을 들여오고 있다. 이거는 이율배반적이고 모순적”이라면서 “해수부가 그렇게 고시를 개정했으면 이번에 수입한 것도 금지 시켜야하는데, 환경부와 해수부는 수입을 승인했다”고 비판했다.
 
관계자는 돌고래가 수족관에 갇혀있는 것에 대해 “사람이 평생 침대 위에서 사는 걸로 생각하면 된다. 돌고래는 하루에 보통 160km정도 움직인다. 그런 것들은 당연히 충족이 안 된다. 또 초음파가 금방 벽에 반사되는 문제도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여태까지 10마리 중에 6마리가 죽었다는 사실 자체가, 돌고래가 살 수 없는 수족관인거다. 예를 들면 사람이 어떤 집에 사는데 10명 들어가면 6명 죽는데 거기에 누가 들어가겠나. 그런데 돌고래를 데려다놓고서는 ‘건강이 안 좋았다’ ‘환경 개선하겠다’는 식으로 핑계만 대는 거다. 이걸로 되지 않는다.”라며 돌고래 전면 수입 금지를 촉구했다.
 
녹색당도 이날 논평을 통해 “수족관에 들어가기 전 크레인으로 들려진 고래가 흘렸던 눈물은 고래가 전하는 마지막 호소였다”고 지적하며 “미국, 영국, 아일랜드, 그리스, 오스트리아, 라트비아, 슬로베니아, 슬로바키아, 체코, 폴란드,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호주, 뉴질랜드, 캐나다, 인도 등 이미 많은 나라에서 돌고래의 생태습성을 고려하여 돌고래수족관을 없애고 돌고래쇼를 금지하고 있다. 더 이상 인간의 체험을 위해 돌고래의 죽음을 강요할 수 없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