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상임위 일정 전면 거부…바른정당도 ‘보이콧’ 아닌 野 규탄엔 동조

한국당은 이날 논란의 원인이 됐던 환경노동위원회에 불참한 것 뿐 아니라 자당 소속 의원들이 위원장으로 있는 기재위와 안행위까지 전체회의를 열지 않는 방법으로 파행시켰고 법제사법, 정무,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 산업통상자원, 보건복지위 등 5개 상임위에 대해서도 전면 보이콧했다.
문제는 앞서 지난 13일 국회 환노위에서 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3당이 이랜드파크 임금체불·MBC노조탄압·삼성전자 직업병 관련 청문회 개최를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등 보수정당 의원들의 격한 반발했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의결시키면서 이날 여당의 국회 일정 보이콧으로까지 이어지게 된 건데, 당시 의결 전 퇴장으로 맞대응했던 한국당과 바른정당 위원들은 이 같은 일방적 처리를 무효화하라고 연일 한 목소리로 촉구하고 있다.
특히 한국당 환노위원들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홍영표 환노위원장에게 이번 사태를 주도했다는 책임을 물어 위원장직 사퇴까지 촉구하고 있는데, 야당이 단독 처리한 3개 청문회 의결안을 번복하지 않을 경우 이 같은 강경 기조는 2월 임시국회 내내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벌써부터 민생·경제 법안 처리가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 소속 박범계 법사위 간사는 한국당의 보이콧 방침이 특검 수사 기간 연장이나 선거연령 18세 인하 등을 막으려는 의도에서 비롯됐다면서 각을 세우는 등 야당에서도 물러설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아 야3당이 단독 의결한 오는 24일 MBC 청문회와 28일 열리게 될 삼성전자·이랜드 청문회 모두 한국당과 바른정당 의원들은 불참한 대로 강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렇게 되면 현재 일부 의원들이 개별적으로 불참하고 있는 바른정당까지 한국당과 마찬가지로 당 차원의 보이콧 대열에 함께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단순히 국회 일정 파행에 그치는 게 아니라 조기 대선 국면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