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진 사장 영장 기각, 법원 아직 정신 못차렸다”
“박상진 사장 영장 기각, 법원 아직 정신 못차렸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정렬 前 판사 “단지 하수인? 최지성-장충기 구속도 어려워질 것”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7일 새벽 구속됐지만, 함께 구속영장이 청구됐던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에 대한 영장은 기각됐다. 사진 / 고경수 기자
[ 시사포커스 / 고승은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17일 새벽 구속됐으나. 함께 구속영장이 청구됐던 박상진 삼성전자 사장에 대한 영장은 기각됐다.
 
한정석 서울중앙지법 영장전담판사는 “피의자의 지위와 권한 범위, 실질적 역할 등에 비추어 볼 때 구속의 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박 사장에 대한 구속영장을 기각했다. 박 사장이 사장 지위, 대한승마협회 회장 지위로서 최순실-정유라씨에 대한 자금지원 실무를 담당했지만, 그가 독단적으로 결정한 게 아니라는 게 법원의 해석이다.
 
이와 관련, 이정렬 전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교통방송 <김어준의 뉴스공장>과의 인터뷰에서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영장청구된 박상진 사장의 구속영장 기각사유를 보면 법원이 아직 정신 못 차렸구나”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재용 부회장도 사실 구속영장 발부하기 싫은데 어쩔 수 없이 한다는 뉘앙스가 상당히 많이 감지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상진 사장의 역할이라는 것이 이재용 부회장과 공모관계 내지는 방조인데, 기각 사유를 보면 액수라든지 삼성의 구조, 이 사건의 중대함을 보면 권한범위나 실질적 역할이 적다는 취지”라며 “그렇게 해석하면 이재용 부회장이 거의 다 했다는 얘기가 된다. 그러면 이 사건에서 이 부회장은 엄벌을 면할 수 없다는 식으로 해석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삼성의 구조나 일련의 과정들을 보면 박상진 사장이 단지 하수인일 뿐인가, 그냥 시키는 대로만 하는 사람인가. 그건 아닐 거거든요”라고 꼬집었다.
 
이 전 판사는 이어 “박상진 사장뿐만 아니라 최지성 미래전략실장(부회장)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사장), 황성수 (삼성전자 대외협력스포츠기획)팀장 (전무), 그 외에 입건된 삼성수뇌부들이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가장 분노하는 게 국민의 노후보장이 담보돼 있는 국민연금이 (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 과정에서) 피해를 입은 건데, 오늘 발부된 영장 관련 이 사건에선 국민연금은 크게 연관성이 없다. 특히 박상진 사장 관련해서”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 문구를 그대로 대입해보면, 최 부회장이나 장 차장에 대한 구속영장도 어렵겠다고 해석이 된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더 나아가 “(법원이)아직 국민의 목소리와 생각이 무엇인지에 대해 아직도 제대로 파악 못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차 이재용 부회장 영장 기각 했던 데서 나왔던 자존심, 이걸 어떻게 엎어야하는데 명분을 어디서 찾느냐. 그것이 (박상진 사장)영장 기각사유에 나온 게 아닌가 해석된다.”고 덧붙였다.
 
김어준씨는 이에 “냉정하게 보자면, 아직도 절반의 정의에 이르지 못한 정의라고 보는 건가”라고 지적했다. 그러자 이 전 판사는 “네, 아직 멀었다”고 답했다.
 
김어준씨는 그러면서도 “(이 부회장은)대통령보다 구속이 어렵다는 애기 많이 들었다. 한 고비 넘어갔다는 것”이라며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은 긍정 평가했다. 이 전 판사도 “이같은 결정은 국민의 힘이 아니라면 설명이 안 되는 부분”이라며 화답했다.
 
◆ “증거인멸한 주범들은 구속 안했다”
 
부장검사 출신인 김경진 국민의당 의원도 박상진 사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된 데 대해 "삼성의 로비력이 막강하다. 법원이 이번에도 삼성 앞에서 절반의 무릎을 꿇었다는 것을 확연히 느꼈다”라고 언급했다.
 
김 의원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박상진 사장 불구속 사유가 내부에서 의사결정에 관여하는 위치라든지 결국은 실질적인 의사결정을 이재용 부회장이 다 했고 박상진은 그 밑에 부하이기 때문에 불구속한 것이다. 지금 이렇게 읽히는 상황이거든요. 그런데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을 보면 김기춘, 조윤선 또 청와대 비서관들 또 문체부 장관, 차관 줄줄이 다 구속됐지 않았나”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거기에 비춰봤을 때 국민연금 의사결정과 관련한 뇌물제공 이 사건은, 결국 간신히 이재용 부회장 한 명만 구속을 했고 그 배후에서 이 부회장을 도와주고 증거인멸하고 실질적으로 뇌물을 제공하고 협력했던 사장단들 미래전략실의 간부들에 대해서는 특검에서 알아서 영장으로 청구하지 않든지 또는 청구된 영장에 대해서도 법원이 기각을 했다”면서 “그래서 삼성의 힘은 막강하다”고 지적했다.
▲ 부장검사 출신인 김경진 의원은 “장충기, 박상진, 최지성 이런 분들이 이 부회장을 도와서 전체적으로 증거인멸하는 주범들”이라고 직격했다. 사진은 최지성 미래전략실 실장(좌측), 장충기 미래전략실 차장(우측) ⓒ 뉴시스
그러면서 “매번 검찰이나 특검에서 이재용 부회장이 조사받고 나가자마자 가는 곳이 지금 미래전략실로 가서 이게 긴급회의를 소집하는 게 아니겠나”라며 “소집하고 나서 하는 얘기가 뭔가. 자신들은 정당하고 떳떳하다고 변명의 일성을 하는 것이 아닌가? 그러면 그 안에서 나눴던 얘기들이 뭐겠나? 뭐 이렇게 저렇게 특검에서 조사 받은 내용 분석해 보고 이 정도 증거는 이렇게 숨기고 인멸하고 이러면 법정에서 무죄판결로 가는 대응이 가능하니까 이렇게 메시지가 나갔으면 좋겠다. 이렇게 협의하는 과정”이라며 공모과정을 언급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장충기, 박상진, 최지성 이런 분들이 이 부회장을 도와서 전체적으로 증거인멸하는 주범들이라고 봐야 한다”고 직격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도 이 부회장에 대한 구속영장이 발부된 데 대해선 “결국은 국민의 뜨거운 마음”이라며 “유독 삼성이 권력 앞에서 당당하게 또 사법 권력을 왜곡시켜 왔던 과거 트라우마 때문에 국민들이 이번만은 제대로 된 사법권력 집행의 모습을 보고 싶다. 그 염원이 지난번에 (이 부회장) 영장 기각된 이후 법원에 아주 강력하게 전달됐고, 법원도 그 국민의 마음을 잃은 거라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