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점 특혜 의혹 여전 안심하긴 일러

롯데그룹은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송금했다 검찰의 압수수색 직전 돌려받은 것을 두고 면세점 사업권 취득 대가로 자금을 건넨 것 아니냐는 특혜 의혹을 받고 있다. 롯데그룹은 특검 수사 기간을 놓고 볼때 사실상 다른 대기업은 수사가 불가능하다는 특검의 입장이 나오면서 안도의 한숨을 돌렸다.
이재용 부회장의 구속 여부가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나온 입장으로 박근혜 대통령 대면조사와 우병우 전 민정수석 조사 등을 감안해 내린 결정과 함께 특검 수사 기간 연장이 불투명한 상황이라 삼성 외의 대기업 수사는 불가능하다는 전망이 꾸준히 제기됐다. 하지만 이 부회장의 구속이 결정되면서 특검 수사 기간 영장이 탄력을 받을 경우 대기업 수사도 급물살이 탈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롯데그룹은 2015년 11월 면세점 특허심사에서 탈락의 쓴잔을 마시면서 롯데월드타워 면세점을 잃었다. 롯데월드타워점은 연 매출이 6000억원 가량으로 월드타워 전체 실적의 절반가량을 차질할 정도로 중요한 사업이기에 특허권을 재취득해야만 했다.
롯데그룹이 면세점 사업권 취득 대가로 재단에 추가 자금을 건넨 것 아니냐는 특혜 의혹을 받는 것에는 지난해 3월 14일 박근혜 대통령과 신동빈 회장과의 독대 이후 정부에서 면세점 특허권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는 점이다. 게다가 평창동계올림픽의 공식 파트너가 되는 대가로 신규 면세점특허권을 받았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롯데는 지난해 3월16일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와 공식 파트너 계약을 체결한 이후 정부는 4월 29일 대기업 특허권을 3곳에 추가하기로 결정했다. 국회 국정감사에서 롯데·SK의 면세점 특허 획득을 위한 특혜성 추가 입찰이란 지적에도 의혹을 부인한 관세청은 특허 입찰을 진행했고 롯데는 그해 연말 사업권을 따냈다.
이와 관련 롯데 관계자는 “면세점 신규 특허와 미르재단 등에 대한 출연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며 선을 그었다. 롯데그룹은 향후 특검의 조사 기간 연장과 수사 향방에 대해 예의주시 하며 이 부회장의 구속으로 특검의 칼끝이 향할까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다. 특검 수사 기간이 연장돼 대기업 수사로 이어질 경우 삼성 이외에 롯데가 일순위가 될 것이란 우려다.
특검 수사기간이 연장되지 않더라도 특검 수사 종결 이후 사건이 검찰로 이첩돼 수사가 이어질 수 있다. 특검법은 ‘기간 내 수사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관할 지방검찰청 검사장에게 사건을 인계해야 한다’고 정하고 있다. 특검 가동 이전 검찰은 면세점 사업 선정과 관련해 롯데그룹 정책본부 및 사무실 등 10여 곳을 압수수색해 사업 관련 자료를 확보한 바 있다.
때문에 수사가 지속되면 롯데도 최악의 상황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이 부회장이 구속된 마당에 롯데 역시 관련 혐의가 드러날 경우 총수 구속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이할 수 있어서다. 게다가 지난해 연말 특허권을 따낸 롯데워드타워 면세점 사업권을 잃을 수도 있다. 관세청은 선정된 사업자에 문제가 있을 경우 사업권을 반납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