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의 주인은 재단 아닌 학생” “우린 교장의 연구대상 아니다” 학생들 교내시위

당초 신청한 학교도 문명고를 포함, 경북 영주의 경북항공고, 경북 구미의 오상고 3곳이었다. 하지만 이들 2개 학교도 분노한 학생들의 반발 등으로 신청을 철회했다.
결국 유일하게 남은 문명고에서도 학생들의 ‘철회’ 여론이 거세다. 이에 앞서 문명고 학생 250여 명은 지난 17일 교내에서 학교 측의 독단적인 결정에 반대하며 피켓팅을 이어갔다. 학부모들도 가세해 항의방문 및 1인 시위를 했다.
또 문명고 학생회는 지난 18일 오후 7시경 다음 아고라에 <문명고 국정교과서 연구학교 지정을 철회해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청원을 올렸다.
학생회는 청원글에서 “저희 학교는 학교의 주인인 학생에게 일말의 통보도 없이 국정교과서 연구학교를 신청하였으며, 교장선생님은 전에 학생들을 강당에 불러 황교안 권한대행이 총리 시절에 한 국정교과서와 관련된 대국민 담화를 시청하게 한 뒤, 이미 다 결정이 나버렸다는 식으로 이야기하셨고 학생들의 질문에도 정확한 답변을 하지 않으셨다”며 “이는 명백히 우리 학생들을 기만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학생회는 “문명고등학교는 (연구학교 신청을)반대하는 선생님들이 많았음에도, 그 의견들을 묵살한 채 국정교과서 연구학교를 신청했다. 거기다 한 술 더 떠 많은 반대를 했던 선생님들에게 불이익을 주었다”고 지적했다. 학생회는 몇몇 교사들이 연구학교 신청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보직에서 해임-배제되는 등 적잖은 불이익을 받았음을 언급했다.
학생회는 “역사는 한 가지의 절대적인 해석이 나오는 학문이 아니다. 관찰자의 시선에 따라 달라지고 살고 있는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역사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 가지 선택을 할 수 있는 검정교과서를 통해 역사를 다양한 시각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며 “하지만 국정교과서는 교육부라는 하나의 시선에서 쓰인다. 오직 한 가지 시선으로 쓰이는 외눈박이 교과서가 현 정권의 입김에 휘둘리고, 편향될 가능성이 더 큰 것 아닌가”라고 반문했다.
해당 글에 대한 네티즌 서명은 20일 오전 11시 20분 현재 9천700여명이 서명할 정도로 뜨거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문명고 측은 전날 재학생에게 “자율학습을 운영하지 않으니 등교하지 말라”고 통보했지만, 학생들은 오전 9시경부터 대거 등교하며 교내에서 ‘국정교과서 철회’ 등을 외쳤다.

밀실에서 강행한 국정 역사교과서가 현장서 사망선고를 받을 것은 이미 오래전부터 예견돼있던 일임에도, 끝까지 ‘박근혜표 국정교과서’를 지키려다 여론의 더 큰 매를 번 것은 물론 교육현장에까지도 커다란 혼란을 불러온 셈이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