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vs 더불어민주당, 광주 민심 얻고자 서로 ‘으르렁’

신세계그룹은 광주시에 광주신세계 복합시설을 추진 중이지만 지역 중소 상인들의 반발에 부딪히며 난항을 겪고 있다. 더군다나 정치권까지 이 문제에 가세해 이전투구 양상을 띠면서 신세계 및 자치단체와 중소상인간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지역 중소 상공인들은 신세계 복합쇼핑몰이 들어오면 지역 상권의 붕괴를 우려하고 하고 있다. 광주시는 중소 상공인들과 시민단체들의 반발이 거세지자 신세계에 개발계획을 축소 변경을 요구하며 반발 수위를 누그러뜨렸지만 정치권으로 논란이 확산되는 등 반발이 커진 양상이다.
신세계 복합쇼핑몰이 지역 쟁점을 넘어 이슈로 부상한데는 최근 최순실 게이트 여파로 인한 재벌개혁 목소리가 높은 상황에서 대기업의 진출로 지역 상권을 붕괴시켜 상공인들이 거리로 내몰릴 수 있다는 위기감과 국민의당과 더불어 민주당이 ‘광주신세계 복합쇼핑몰 건립’ 문제를 놓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어서다.
◆지역발전이냐 소상공인 살리기냐 의견 ‘팽팽’
광주신세계 복합쇼핑몰 건립 문제는 야당간 찬반양론으로 번지며 대선 이슈로 부상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2019년 광주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를 열면서 특급호텔을 비롯해 레저 문화 쇼핑시설 등 부대시설을 갖춰야 필요성을 느끼고 2015년 5월 11일 신세계와 시청에서 ‘지역 친화형 랜드마크 복합시설’을 개발하는 투자협약(MOU)을 맺었었다. 부지는 광주 서구 화정동으로 면적 약 30만㎡의 규모다.
그러나 민주당 차원에서 공식적인 건립 반대 입장을 밝히고 광주시에 보완 요구 요청이 있자 신세계측은 기존보다 판매시설 면적을 40%나 축소한 지구단위 구역 지정 신청서를 지난 2월 1일 시에 접수하고 인허가 과정에 착수했다. 신세계가 면적 축소에 나선 것은 정치권의 반대와 더불어 기존 판매시설 면적이 지나치게 넓다는 지역 상인들의 반발이 주된 이유였다.
신세계 복합쇼핑몰이 추진돼 완공되면 1조3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9000여 명의 직·간접 고용효과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낙후된 광주지역 발전을 위해서라도 윤 시장은 더불어민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건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민의당 지역 의원들 역시 더불어민주당과 한솥밥을 먹을 당시에도 복합쇼핑몰 건립에 부정적 의사를 드러내지 않았다. 반면 민주당 을지로위원회는 신세계복합쇼핑몰 건립에 부정적 입장을 드러냈었다.

반면 장병완 국회 산자위원장은 “사업 자체를 막는 것은 문제가 있다. 많은 일자리가 생겨나고 납품하는 중소기업에도 도움을 주기 때문에 광주발전을 위해서는 필요한 사업으로 본다”고 신세계측에 힘을 실어주었다. 이에 대해 광주복합쇼핑몰입점저지시민대책위는 국민의당 지역의원들의 복합쇼핑몰 찬성에 대해 “국민의 당이 국민 편이 아닌 재벌 편을 들겠다는 대국민 선언이나 마찬가지다”고 지적했다.
◆문재인·이재명 복합쇼핑몰에 반대?
지역 이슈로 급부상하자 대선주자들도 이에 가세했다. 호남 심장부인 광주에 공을 들이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들은 신세계 복합쇼핑몰 건립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소상공인 보호를 이유로 사업추진에 부정적이다. 문재인 후보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입장 표명을 밝히지 않고 있지만 2015년 9월 광주를 방문한 자리에서 “대규모 판매시설이 들어서면 골목상인들이 다 죽을 것”이라며 신세계 복합시설 건립에 반대한 바 있어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한편 신세계측은 복합쇼핑몰 논란이 정치권까지 확산된 것에 대해 당혹스런 눈치다. 신세계는 광주신세계 호텔 복합시설 신축인데 자꾸 복합쇼핑몰 추진 논란으로 비쳐지는지 알 수 없다며 논란이 확산되는 것에 우려를 나타냈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