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 ‘토론’ 통한 반등 계기 노려…앞서는 劉, ‘잘해야 본전’이기에 거부

먼저 남 지사 측 이성권 대변인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지금까지 어느 정당도 대선후보를 선출하면서 여론조사 비율을 20%를 초과해 반영한 적이 없다”며 여론조사 방식의 후보 선출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힌 뒤 경선 룰을 논의하기 위한 후보 간 토론을 갖자고 주장했다.
여론조사에서 유 의원에 밀리고 있는 남 지사 입장에선 토론을 통해 후위주자인 자신을 부각시킬 수 있으면서도 상대를 어떻게든 몰아붙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선명성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라도 공개토론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그런 면에서 앞서 자신의 모병제 공약을 놓고도 유 의원과 신경전이 벌어지자 남 지사는 후보 간 토론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자신에게 유리한 현재의 경선 룰을 바꿀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데다 설령 공개토론에 나가도 ‘잘해야 본전’인 유 의원 입장에선 당연히 응할 이유가 없어서인지, 그는 이날 오후 서울 중구의 한 사무실에서 가진 고 김훈 중위 유족 면담 직후 기자들에게 “당에서 정해주는 대로 따르겠다”며 경선 룰 관련 입장에 변동이 없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유 의원은 경선 룰 논의와 관련해 “후보들은 대리인을 보내놨고, 대리인들도 결정에 참여는 안 하고 의견을 내는 것”이라고 덧붙여 남 지사와의 토론으로 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란 점을 지적했는데, 이렇듯 유 의원이 여론조사 방식을 고수하고 있는 반면 남 지사는 ‘토론회를 통한 문자투표’ 형식을 원하고 있기에 이견 차를 좁히지 못하는 양측 간 충돌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포커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